식물종합병원

진단 및 처방

sicknsInfList

진단 및 처방

사과 탄저병
과수 > 사과 > 병해

증상

병원균

도감정보

사과 탄저병

영문명 : Bitter rot, Anthracnose

식물명 : 사과

1. 병원균 :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Colletotrichum acutatum ​등 여러종이 관여

자낭균에 속하며, 자낭포자는 무색, 단세포, 약간 구부러진 방추형, 크기 12~28×4~7

분생포자는 무색, 단세포, 타원형 또는 원통형, 크기 12~22×4~7

 

2. 병징과 진단

과실에 주로 발생하지만 때로는 가지나 줄기에도 발생

과실의 표면에 갈색의 작은 반점이 형성 확대되면서 병반 중앙부가 움푹해지며, 병든 부위를 잘라보면 과심 방향으로 과육이 원뿔 모양으로 깊숙이 부패하게 (V자 모양)

병반 중앙부가 동심윤문의 흑색 포자층이 밀생하며, 다습 시에는 병반 위에 담홍색의 점액(분생포자)이 분비

홍로 품종은 감염되면 빠른 속도로 확산되는데, 병원균의 침입 특성상 표피를 직접 뚫고 침입하므로 상대적으로 표피가 얇은 홍로 품종에서 발생이 많음

 

3. 발생시기 및 발생조건

가지의 상처 부위나 과실이 달렸던 곳, 잎이 떨어진 부위에 침입하여 균사의 형태로 월동한 후 5~6월 상·중순부터 분생포자를 형성하고 비가 올 때 빗물에 의해 비산되어 과실에 침입하여 발병됨

파리나 기타 곤충 및 조류에 의해서 분산 전반되어 전염이 이루어지기도 함

과실에서는 6월 하순~7월 상순경 작은 반점형태의 정지형 병반(미생물 활동을 억제하는 폴리페놀 물질에 의해 과실은 부패되지 않음)이 발생되기 시작하여 7월 하순에서 8월 하순까지 많이 발생하고 9월 중순 이후 감소하며, 저장 중에도 많이 발생하고 과실 부패로 이어짐

탄저병 감염시기에 따른 잠복기 변화 : 6월 상순이전 감염(정지형 병반), 6 중순(40~50일 후 발병)~하순(30~40), 7월 상순(20~30)~중순(15~25), 8월 상순(15~20)~중순(10~15)

병원균의 생육온도는 5~32, 적온은 28

 

4. 방제방법

◦ 등록약제를 사용하여 방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