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종합병원

진단 및 처방

sicknsInfList

진단 및 처방

사과 마그네슘 결핍
과수 > 사과 > 생리장해

증상

도감정보

사과 마그네슘 결핍

영문명 : magnesium deficiency

식물명 : 사과

1. 피해증상

줄기의 기부 부근에 있는 잎부터 위쪽으로 올라가면서 잎맥사이가 황화되고 심하면 갈변되어 낙엽이 됨

홍옥, 골든데리셔스, 인도와 같은 품종에서는 엽맥간 황화현상이 나타나고 후지에서는 황변현상이 나타나지 않고 바로 엽맥간 흑갈색의 변색부가 나타남

일반적으로 잎의 갈변은 8월 중에 나타나고 갈변증상이 넓어지면 낙엽이 되며, 결핍이 심할 때는 6월 하순부터 엽맥간 황화가 일어나기도 함

결핍이 심한 나무는 수확기가 되어도 신초의 2차 신장이 많고 과실이 작아지며, 붉은색 품종의 경우 색깔이 검붉게 되고 바탕색이 어두워지며, 과육에 푸른색이 남게 되어 착색이 대단히 불량함

 

2. 원 인

유표 토심이 얕고 하층에 모래자갈층이 있는 토양의 뿌리분포가 얕은 사과원에서 발생이 많고 지형적으로 경사지의 배수가 양호한 곳에서도 발생하기 쉬움

토양 중에 마그네슘이 상당량 있어도 칼리의 함량이 많으면 마그네슘의 흡수를 방해하기 때문에 결핍증이 발생함

가뭄으로 토양이 건조하거나 공기의 유통이 나쁠 때에도 잘 흡수되지 못하므로 결핍증이 발생되기 쉬움

신개간지 토양 등 강산성 토양에서는 마그네슘이 빗물을 따라 땅속 깊이 녹아 들어가므로 결핍되기 쉬움

 

3. 대 책

토양산성을 교정하고 동시에 마그네슘을 공급하기 위해 근본적으로 고토석회를 10a200~300kg2~3년마다 유기물과 함께 넣어 줌

응급대책으로 황산마그네슘 2%액을 6월 상순부터 7~10일 간격으로 3~4회 엽면살포 함

칼리는 마그네슘과 길항작용이 있으므로 칼리의 시용량을 줄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