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cknsInfList
1. 학명 : Plautia stali
2. 피해와 진단
◦ 7~8월에 피해를 받은 과실은 흡즙 후 1주일 정도면 낙과하지만 9월 이후에 흡즙한 과실은 낙과하지 않고 흡즙 부위가 오목하게 들어가 갈색을 띰
◦ 심하면 과실이 기형으로 되고 과육은 스폰지 모양으로 되어 상품성이 낮아지며, 피해 부위는 2차적으로 탄저병에 감염되기 쉬움
3. 형 태
◦ 성충 길이는 10~12mm, 머리와 가슴 부분은 진한 녹색이고 등판은 연한 녹색을 띠며, 복부 양옆으로 갈색의 막질 날개가 있음
◦ 약충은 가슴, 머리, 다리가 흑색이고 복부, 등쪽은 진한 황색이고 여기에 흑색반점이 나란히 3개가 있으며, 부화유충~3령 약충은 흑색이고 3~5령 약충은 녹색형과 흑색형이 있음
4. 생 태
◦ 연 1~2회 발생하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3회까지 발생하기도 하며, 성충으로 낙엽 등 식물 잔재물에서 월동
◦ 다른 노린재와 마찬가지로 고온 건조할 때 증식률이 높고 과원 주변 채소나 두과작물이 심겨 있거나 통풍이 잘 안되는 곳에서 발생이 많음
◦ 성충은 5~6월경 과원에 날아와서 산란을 하고 부화한 약충은 집단생활을 하며, 7~8월에 성충이 되면서 과실을 가해하기 시작하여 9월에 가장 심하고 수확기까지 피해를 줌
5. 방제방법
◦ 과원 주변 참깨, 콩 등 기주식물을 사전에 정리
◦ 이동성이 강하므로 피해가 심할 때는 10일 정도 간격으로 전용약제를 살포 하고 과원 주변 작물에도 발생 유무를 확인하여 방제
※ 요방제 수준 : 8월경 결과모지당 1마리 이상이거나 피해과가 보일 경우
☞ 적용약제 : 오신(4a), 팬텀(4a), 데시스(3a), 빅카드(4a), 바이킹(3a+22), 스토네트(3a+4a), 뚝심(1b+3a), 타스타(3a)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