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cknsInfList
1. 학명 : Riptortus clavatus
2. 피해와 진단
◦ 7월 상순부터 흡즙된 어린 감은 즙액이 유출되고 그 후 낙과되며, 성과기에는 조직이 함몰되고 스폰지화 되면서 곶감 제조 시 상품성이 떨어짐
◦ 특히 인근에 콩밭이 있는 경우 피해가 심함
3. 형 태
◦ 성충은 14~17mm 정도의 비교적 큰 해충으로 흑갈색부터 적갈색까지 색채변이가 다양하며, 다리부위에 톱니모양의 가시가 있는 것이 특징임
◦ 수컷은 머리와 가슴 측면에 검은 선이 둘려 있고 황색의 불연속 무늬가 뚜렷하지만 암컷은 불명확함
◦ 약충은 형태나 행동이 개미와 유사함
4. 생 태
◦ 연 2~3히 발생하며, 포장 잔재물이나 주위의 잡초 등에서 성충으로 월동한 후 4월 상순부터 활동하기 시작하여 5~7월 상순에 산란
◦ 1세대 성충은 6월 하순~7월 하순, 2세대 성충은 8월 상순~9월 중순에 발생하고 3세대 성충은 10~11월에 우화하여 그대로 잡초에서 월동에 들어감
◦ 한 마리가 일생 동안 55~90개의 알을 낳고 알기간은 6일, 약충기간은 16~23일 정도
5. 방제방법
◦ 피해가 늘어나는 7월 중․ 하순부터 적용약제를 7~10일 간격으로 2~3회 방제하거나 대량 유살 페로몬 트랩을 활용한 방법이 적극 고려되고 있음
※ 요방제 수준 : 결과모지당 9월중 3마리, 10월중 1마리 이상이거나 피해과가 보일 경우
☞ 적용약제 : 보스(4a), 유토피아(4a+18), 앰풀리고(28+3a)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