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종합병원

진단 및 처방

sicknsInfList

진단 및 처방

나무좀류
과수 > > 충해

증상

해충

도감정보

나무좀류

영문명 :

식물명 : 감

1. 학명 : 암브로시아나무좀 Xyleborus saxeseni, 오라나무좀 X. germanus

 

2. 피해와 진단

월동 후 조피작업 시 고압살분무기를 이용하여 과도한 조피작업으로 나무에 상처가 나거나 겨울철 동해나 여름철 가뭄피해 또는 일소피해 등으로 줄기가 스트레스를 받은 나무에 집중 가해하여 수세를 급격히 떨어뜨림

암컷이 큰 나무 줄기나 어린나무 주간부에 직경 1~2mm 구멍을 뚫고 들어가는데, 침입을 받은 가지의 잎이 시들고 나무의 수세가 급격히 쇠약해지며 심하면 고사

침입 구멍으로 하얀 가루를 내보내고 성충과 유충이 목질부를 식해하고 유충이 먹이가 되는 공생균(암브로시아균)을 자라게 하므로 이 균에 의해 목질부가 부패되어 수세가 더욱 쇠약해져 고사를 촉진

암브로시아나무좀 77.3%, 감나무좀 6.8%, 오리나무좀이 5.8% 우점하나 감나무좀은 발생량은 다소 많으나 피해를 주지는 않음

 

2. 형 태

나무좀 성충은 원통형이고 몸길이는 암브로시아나무좀이 2mm 내외, 오리나무좀이 2~3mm 정도임

 

4. 생 태

2회 발생하며, 성충으로 월동하고 제1세대 성충은 6~8, 2세대는 9~10월에 나타남

침입 시기는 월동 성충이 4월 중 최고기온이 20이상일 때 비산활동을 시작하고 제1세대 성충은 7~8이며, 하루 중 오후 3~6시경이 주 비산시기임

알을 갱도 내에 무더기로 낳으며, 2세대 성충이 피해나무 갱도 속에서 무리지어 월동

5. 방제방법

나무좀은 2차 가해성 해충으로 건전한 나무는 가해하지 않고 수세가 약한 나무를 집중 가해하므로 비배 및 토양관리와 수분관리를 철저히 함

성충이 침입하는 시기에 피해 부위를 유기인제로 도포하거나 침입 구멍에 주입하면 효과가 있으며, 사과에 등록된 약제 중 감의 깍지벌레에 등록된 약제를 준용함

가능약제 : 바람탄(4a+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