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cknsInfList
1. 피해증상
◦ 과실비대가 왕성한 성숙기에 꽃받침과 과육 사이의 접합부에 틈이 생겨 과실의 기부가 일찍부터 붉게 무르거나 부패하여 상품성과 저장성을 잃게 되는 증상임
2. 원 인
◦ 과형이 긴 품종은 거의 발생하지 않으나 부유, 차랑 등 납작한 반시 계통의 품종에서 주로 발생함
◦ 동일 품종 내에서도 큰 과실일수록 많이 발생하며, 토양수분의 급격한 변화에 의하여 양수분의 흡수가 균일하지 않거나 수세가 강하고 결실량이 적을 경우 많이 발생함
◦ 꼭지가 큰 과실보다 꼭지가 작은 큰 과실에서 많이 발생하며, 과실의 종자수가 적고 종자가 편재되면 부분적으로 과실이 비대하는데 이 경우 꼭지들림이 많이 발생함
3. 대 책
◦ 수체 내의 양분의 과부족이 없도록 거름주기와 토양수분 관리에 유의함
◦ 감꼭지의 꽃받침은 개화기까지 70~80%가 생장되어 7월 중․ 하순에 발육이 정지하므로 봉오리 따기 작업을 철저히 하여 꼭지의 생장을 촉진시킴
◦ 과실 내의 종자수가 많으면 발생이 적으므로 수분수 혼식으로 과실 내의 종자수가 많도록 유도함
◦ 과실 성숙기에는 토양수분의 급격한 변화가 없도록 관수하여 과실비대에 지장이 없도록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