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종합병원

진단 및 처방

sicknsInfList

진단 및 처방

감귤(한라봉) 검은점무늬병(흑점병)
과수 > 감귤 > 병해

증상

병원균

도감정보

감귤(한라봉) 검은점무늬병(흑점병)

영문명 : Melanose

식물명 : 감귤(한라봉)

. 병원균 : Diaporthe citri (불완전세대 : Phomopsis citri)

자낭균에 속하여, 자낭각은 새의 긴 부리모양, 길이 200~800, 자낭은 긴 곤봉형, 자낭포자는 무색, 2세포, 2개의 유구(guttulae), 크기 11~15×3~5

병포자는 두 가지 형태, 알파(α)포자는 무색, 단세포, 크기 5~9×2~4, 베타(β)포자는 무색, 단세포, 실모양, 크기 20~30×0.7~1.5

 

2. 병징과 진단

, 가지, 과실에 발병하며, 병원균 침입 후 약 1주일 만에 병징이 나타남

과실의 경우 병원균이 침입한 표피 세포는 침입 부위로부터 6개의 세포층까지 괴사하고 그 속에 딱딱하고 검붉은 고무질 같은 물질이 박혀 있는데 이것이 대표적인 흑점형 반점이고 병원균 밀도가 높을 경우 검붉은 딱지나 부스럼 모양이 되는데 이것이 니괴형 병반이며, 물이 흐르는 방향으로 형성된 병반을 누반형이라고 함

병징은 감염 시기나 과실의 상태, 기후조건 등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고 녹응애 피해, 구리제 등에 의한 약해와도 증상이 매우 유사함

잎의 경우 5월 상~중순경 잎이 굳어 지기 전 감염되기 시작해 전형적인 검은 점이 박혀 있지만 심할 경우 잎이 황화되고 심하게 뒤틀리며 낙엽이 되며, 청견, 부지화, 세또까 같은 만감류에서는 잎 표면 흑점형 병반 돌기 정도가 심해 거친 모래가 붙어 있는 것 같은 모양이 되며, 잎의 병반에서는 전염원이 형성되지 못하기 때문에 굳이 방제할 필요가 없음

줄기의 경우 신초나 녹지에 5월 상~중순경 이후 감염되기 시작하고 다른 부위와 다르게 침입 부위에 균이 살아 있는 경우가 많음

 

3. 발생시기 및 발생조건

병원균은 병자각이나 자낭각 형태로 죽은 가지 등에서 월동하며, 점염원은 이들에서 생성된 병포자와 자낭포자임

원균이 식물조직을 침입하기 위해서는 24~28에서 8시간 이상, 20에서 12시간 이상의 습윤 조건이 필요하고 잠복기간은 25에서 1~2, 10에서는 7일이며, 강우가 많지 않더라도 오후에 비가 오고 마르지 않은 상태에서 야간온도가 어느 정도 높을 경우 병 발생에 충분한 조건이 됨

병 발생조건이 충족되면 10월 상순까지도 발병하지만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과실 비대기 이후에는 저항성을 지니기 때문에 병 발생은 흔치 않음

 

4. 방제방법

수확이나 전정 시 죽은 가지를 철저히 제거하여 전염원을 제거함

병 발생에 가장 중요한 것은 강우량이 아니라 식물 표면의 습윤 기간이므로 통풍과 햇볕이 잘 들도록 관리함

5월 중~하순부터 8월 하순 사이에 15~20일 간격 또는 누적 강우 200~ 250mm 시마다 3~4회 약제를 살포하며, 최근 8월 중~하순의 방제의 중요성이 더 커지고 있으나 극조생의 경우 6월 상순 방제가 반드시 필요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