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cknsInfList
1. 병원균 : Elsinoe fawcettii (불완전세대 : Sphaceolma fawcettii)
◦ 자낭균에 속하며, 유성포자세대는 브라질에서만 유일하게 발견됨
◦ 분생포자는 투명포자(단세포, 투명한 타원형, 크기 5~8×2~4㎛)와 방추형포자(크기 10~16×4㎛) 두 개의 형태가 존재하며, 방추형포자는 직접 기주식물에 침입하지 못하지만 빗물이나 바람 등에 의해 다른 곳으로 전파되고 그 곳에서 기주에 침입할 수 잇는 투명포자를 출아에 의해 생성함
2. 병징과 진단
◦ 잎의 경우 병원균 침입 3일 후 병징이 나타나기 시작하고 초기 증상은 파리똥 같은 작은 반점이 생기고 그 주위는 황화되며, 진전되면 반점이 커지고 돌출해 회갈색이 되고 다습할 경우 연한 황색 또는 분홍색으로 변하며, 심할 경우 잎이나 열매가 기형이 되고 신초에서는 낙엽이 되는 경우도 있음
◦ 증상은 잎이나 과일의 발육상태에 따라 달라지는데, 초기 감염(잎은 1/4 정도 자랄 때까지, 열매는 약 0.5~1cm 크기까지) 시에는 돌기형이 되고 후기 감염 시에는 부스럼 또는 딱지형이 되며, 과실이 점차 커질수록 모두 부스럼 병반으로 변함
◦ 저항성 품종이나 자 자란 잎, 환경이 발병 조건에 알맞지 않을 경우 병반이 흑점 형태로 나타나기도 함
3. 발생시기 및 발생조건
◦ 병원균은 가지나 잎의 병반에서 균사형태로 월동하고 15℃에서 2일 정도 병반이 젖어 있으면 전염원인 분생포자가 형성돼 1차 전염원이 됨
◦ 25℃ 내외에서 병 진전 속도가 가장 빨라 2.5일이면 첫 병징이 나타나고 35℃ 이상에서는 병이 발생하지 않으며, 포자가 형성된 후에는 식물체 표면이 3시간 정도만 젖어 있어도 병원균이 침입할 수 있음
◦ 5월 10일 전후해 봄순에 더뎅이병이 발생하기 시작하고 5월 20일경까지 봄순에 발생하지 않으면 그 해 과원에서는 더뎅이병이 거의 발병하지 않는다고 볼 수 있으므로 특별히 방제할 필요가 없음
4. 방제방법
◦ 수확이나 전정 시 병든 식물체는 발견 즉시 제거함
◦ 적용약제를 발아 초기, 비가 오기 전 등 초기에 15일 간격으로 3~4회 살포해야 하며, 봄순에 발생했고 어린 열매에도 간혹 보이면 7월 중순까지도 방제가 필요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