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cknsInfList
1. 병원균 : Phytophthora citrophthora, P. nicotianae
◦ 난균류에 속하며, 세계적으로 P. citrophthora, P. nicotianae, P. palmivora, P. citricola 등이 보고되어 있으나 국내에서는 과실의 병반에서 P. citrophthora만이 발견되었고 땅가줄기썩음병반에서 P. nicotianae만이 분리됨
◦ P. citrophthora 포자낭은 타원형, 계란형, 구령 등 매우 다양하고 크기 35~60×27.5~35㎛, 유두돌기는 뚜렷하지 않고 생육적온 23~25℃, 35℃에서는 자라지 못함
◦ P. nicotianae 포자낭은 난형, 구형 등 다양하고 크기 36~50×24~40㎛, 유두돌기는 뚜렷하고 35℃에서는 자라지만 4℃에서는 자라지 못함
2. 병징과 진단
◦ 과실 역병은 주로 9월 상순부터 10월 상순까지 발생하지만 장마기간 중 침수되는 지역에서는 6~7월에도 발생하며, 이때는 열매뿐만 아니라 어린 가지나 잎에서도 발생함
◦ 병징은 강우 4~7일 후에 나타나는데, 표피가 연한 갈색으로 변해서 점차 그 부위가 약간 딱딱해지고 마치 가죽 같은 색이 되며, 습한 날씨가 계속되면 그 표면 위로 하얀색 균사가 생성되고 고약한 냄새가 나며 곧 낙과됨
◦ 지제부에 발생하는 역병은 전체적으로 수세를 약화시켜 잎이 황화되거나 낙엽되고 병 발생 부위에 수지가 흐르고 껍질을 벗겨보면 갈색으로 썩어 있음
3. 발생시기 및 발생조건
◦ 병원균은 토양 중에 난포자, 후막포자, 균사의 형태로 월동하다가 물기가 있으면 유주자포자를 형성하고 빗물에 의해 튀어 오르면서 1차전염원이 되어 수관 하부의 과실부터 감염되기 시작하며, 감염조직으로부터 빗물이 바람에 튀어 오르면서 수관 상부까지 감염됨
4. 방제방법
◦ 빗물이 튀지 않도록 비닐이나 짚으로 토양을 멀칭해 주고 병든 식물체는 발견 즉시 제거함
◦ 일단 발병하면 약제를 살포해도 잘 방제가 되지 않으므로 사전에 예방적으로 방제하는 것이 중요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