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종합병원

진단 및 처방

sicknsInfList

진단 및 처방

감귤(한라봉) 감귤바이로이드
과수 > 감귤 > 병해

증상

도감정보

감귤(한라봉) 감귤바이로이드

영문명 :

식물명 : 감귤(한라봉)

1. 병원균 : Citrus bent leaf viroid, CVd-I-LSS, Hop stunt viroid, Citrus viroid , Citrus viroid , Citrus viroid OS

감귤류에는 총 7개의 바이로이드 보고되어 있는데, 제주도 감귤에서는 아직 6개 바이로이드만 검출되고 있음

 

2. 병징과 진단

감수성 대목의 겉껍질이 벗겨지고(Bark scaling) 잎이 황화되며 전체적으로 수세가 약화됨

Bark scaling 증상이 없는 나무에서도 수세가 약화되고 잎이 황화 될 수 있음

외피단백질이 없기 때문에 항혈청을 이용한 진단법은 사용할 수 없으며, Etrog citron Arizona 861-S1을 이용한 생물검정이 가능하지만 보통 특이 프라이머를 이용한 RT-PCR법으로 진단하고 있음

 

3. 발생시기 및 발생조건

감귤바이로이드의 전반은 주로 접목에 의해 이루어지고 전정가위 같은 농기구로도 전염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토양, 종자전염은 아직까지 보고되고 있지 않음

 

4. 방제방법

사전에 감염이 되지 않도록 주의하며, 접목 시 건전한 접수를 사용하고 전정가위 등은 1% 차아염소산나트륨용액에 2~3분간 소독하여 사용함

병든 식물체는 굴취하여 제거하고 건전한 식물체로 재식함

농가의 수익성을 고려하여 증상이 약하거나 중간정도의 나무는 착과량 조절, 비배관리 등을 잘하여 수세가 약화되는 것을 지연시킴으로써 서서히 바꿔주면 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