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cknsInfList
1. 학명 : Unaspis yanonensis
2. 피해와 진단
◦ 잎이나 가지에 기생하며, 즙액을 빨아먹어 심하면 나무가 고사하게 됨
◦ 과실에 기생하면 기생부위는 착색이 덜 되고 방제를 소홀히 할 경우 비대가 나빠져 상품가치를 떨어뜨림
◦ 주로 노지과원에서 발생하는데, 정상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과원에서는 문제시 되지 않으나 무농약이나 유기재배에서 발생되어 문제가 되고 있음
3. 형 태
◦ 암컷 성충의 몸길이는 약 3.5mm 정도의 암갈색으로 외관상 화살촉과 유사하게 생겼음
◦ 수컷은 흰색의 밀납물질로 덮여 있고 길이는 1mm 정도로 가늘고 길며, 수컷 성충은 날개가 있음
4. 생 태
◦ 연 2~3회 발생함
◦ 기상상황에 따라 다소 다르기는 하지만 일반적으로 1세대 유충은 6월 상순, 2세대 유충은 8월 중순에 발생함
5. 방제방법
◦ 발생이 많은 과원에서는 수확 후 월동 전이나 전정 후에 기계유유제를 살포하여 유충이 발생하기 전에 밀도를 낮추는 것이 좋음
◦ 몸이 깍지로 덮여 있기 때문에 성충을 대상으로 약제를 살포하면 방제효과가 낮으므로 반드시 유충기에 방제하여야 하며, 1세대 유충이 성충이 되기 전이 방제적기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