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cknsInfList
1. 학명 : (말매미) Cryptotympana dubia, (털매미) Platypleura kaempferi,
(애매미) Meimuna opalifera
2. 피해와 진단
◦ 성충은 산란관을 이용하여 가지에 구멍을 뚫고 산란하여 가지를 고사시키고 주로 2년생 가지에 많이 산란하며, 유충은 땅 속에서 생활하면서 뿌리를 가해함
3. 형 태
◦ (말매미) 한국산 매미 중 가장 큰 종으로 몸길이 43~45mm, 머리와 가슴은 광택이 있는 흑색이고 배 부분은 다소 옅은 흑색을 띰
◦ (털매미) 몸길이 약 24mm로 앞날개는 짙은 갈색 구름무늬가 있고 뒷날개는 바깥 가장자리는 투명하고 그 외는 검은색이며, 몸 전체에 짧은 털이 나 있음
◦ (애매미) 몸길이 약 30~31mm로 날개는 투명하고 검은색 몸 바탕에 녹색무늬가 가늘게 나 있음
4. 생 태
◦ (말매미) 산란 첫 해는 알로 월동하고 이듬해 6월 하순~7월 중순에 부화하여 가지에서 내려와 땅속에서 6년간 유충으로 생활한 후 보통 일몰 후부터 12시경에 땅 위로 나와서 성충으로 탈피하고 성충은 나무의 즙액을 흡즙하며 생활하며, 감귤원에서는 주로 6월 하순경부터 발생하여 7월 중~하순에 밀도가 가장 높음
◦ (털매미) 6월 상~중순경에 탈피하여 9월 상순까지 볼 수 있고 평지부터 해발 700~800m까지 분포하며, 나무의 낮은 곳에 앉는 것이 보통임
◦ (애매미) 일반적으로 7월 상순경부터 발생하여 8월에 가장 많고 평지부터 해발 1,000m 이상 분포하는데 국내에서 서식 범위가 가장 넓은 종임
5. 방제방법
◦ 피해 정도가 크지 않아 결과모지가 충분할 경우에는 크게 문제가 되지 않으며, 성충은 활동범위가 넓어 약제에 의한 효과는 거의 없고 피해 가지를 잘라 태우거나 나무에 기어오르는 노숙유충이나 번데기를 잡아 없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