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종합병원

진단 및 처방

sicknsInfList

진단 및 처방

감귤(한라봉) 아연 결핍 및 망간 과잉
과수 > 감귤 > 생리장해

증상

도감정보

감귤(한라봉) 아연 결핍 및 망간 과잉

영문명 :

식물명 : 감귤(한라봉)

1. 피해증상

주로 과실 비대가 시작되는 6~7월경부터 결핍 증상이 나타나는데, 8월 이후 과실 비대가 증가하면서 증상이 더욱 심하게 나타남

결핍 증상이 발생하는 가지는 주로 수세가 약한 아래 가지와 도장지와 같은 강한 여름 순의 윗부분에서 우선적으로 발생하며, 희미했던 증상이 과실 비대가 되면서 점점 진한 노란색 무늬가 선명해짐

결핍 증상이 발생한 잎은 작아지고 열매 역시 생육이 저하되어 불량하게 되며, 심하면 잎이 갈색으로 말라죽기도 함

 

2. 원 인

근본적으로 토양 중의 아연과 망간의 함량이 불균형할 경우 발생함

토양의 산도가 적정하지 않거나 칼슘과 인산의 과용으로 인해 아연의 흡수를 가장 방해하며, 질소 및 칼리 흡수를 저해함

노지과원에서는 토양 산성화로 토양 중 망간이 과잉 용출되어 망간 과잉이 문제가 되며, 보르도액 살포 시 황산아연을 혼용하여 살포하였을 경우 좀처럼 아연이 결핍되는 경우는 발생하지 않음

 

3. 대 책

적정 산도(pH 5.5~6.3)인 경우 유기물과 퇴비를 주어 토양 내 부식질 함량을 증사시켜 토양의 완충능을 높여줌

칼슘과 인산이 과용되지 않도록 균형시비를 하며, 4~5월에 10a당 황산아연 2kg을 물 1,000L(50)에 녹여 포기별로 2회 관주하거나 땅 표면에 살포함

응급대책으로 황산아연 0.3%(20L60g)에 탄산석회 또는 생석회 50g을 섞어 살포하거나 황산아연을 단용으로 살포할 경우 0.08%(20L16g)을 봄 순에 2~3회 살포하되 과실이 달린 후 급격히 결핍 증세가 증가하는 농가에서는 상담 후 살포하도록 함

황산아연 0.3% 이상을 단용으로 살포할 경우 잎에 피해가 발생하므로 주의하며, 생석회와는 절대로 혼용해서는 안 됨

망간 과잉 증상이 심할 경우 토양 산도를 측정하고 pH 5.0 이하로 내려가면 고토석회를 보충해 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