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cknsInfList
1. 피해증상
◦ 노지 밀감에서도 간혹 나타나지만 주로 하우스 재배에서 많이 나타남
◦ 초기 증상은 순의 자람이 불량하고 잎은 초기에 진한 녹색이 되다 점차 옅은 녹색으로 되며, 진전되면 가지 끝이 마르고 흑갈색의 물집(수포)이 발생하여 나무 전체가 왜소해짐
◦ 과실은 6~7월경 꼭지부 주위에 검은점무늬병처럼 작은 검은 점이 생기고 점차적으로 과실 전면으로 확산되며, 과실 발육에 장해를 받아 소과와 터진 열매(열과)가 많아지며, 검은점무늬병과 다른 점은 주로 유포에 증상이 나온다는 것과 증상이 나온 부위는 생장이 느려서 기형과가 됨
◦ 온주밀감과 청견은 주로 과경부 주위에 나타나지만 오렌지와 부지화는 과실 전면에 나타나며, 또한 과육의 수분이 적어지고 신맛이 낮아지는 특징이 있음
2. 원 인
◦ 토양의 적정 산도는 pH 5.5~6.3 범위이나 이보다 높으면 구리와 아연 등의 결핍 증상이 나타나기 쉽고 이보다 낮은 철, 아연, 구리, 망간의 용출량이 많아져 과잉 장해가 발생함
※ 보르도액을 꾸준히 사용할 경우 구리의 결핍은 일반적으로 발생하지 않으나 최근 보르도액의 사용이 감소하고 고토석회를 다량으로 시용한 과원에서는 토양 pH가 6.5 이상으로 구리의 용출량이 적어짐
◦ 질소 시비량이 많고 유기물을 지나치게 많이 투입할 경우 유기산과 구리가 킬레이트 결합을 하여 작물이 흡수하기 어렵게 되므로 결핍증이 발생함
3. 대 책
◦ 토양 중에 구리 성분이 있더라도 흡수가 안 될 경우 즉, 염기(칼리, 칼슘, 마그네슘)의 과다시용으로 토양 pH가 높을 경우 10a당 황산구리 2kg을 물에 녹여 포기별로 관주함
◦ 응급대책으로 수확 후 물 20L당 황산구리 80g과 생석회 80g을 혼합하여 엽면살포하거나 구리제 농약을 살포함
※ 열매가 착과된 경우 생석회와 황산구리 혼용살포 시 나무에 하얀 자국이 오랫동안 지속되므로 구리제 농약을 살포하며, 기온이 높을 때는 구리제에 의한 피해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주의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