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종합병원

진단 및 처방

sicknsInfList

진단 및 처방

감귤 수부증
과수 > 감귤 > 생리장해

증상

도감정보

감귤 수부증

영문명 :

식물명 : 감귤(한라봉)

1. 피해증상

착색기 이후 비 또는 이슬이 내리면 과피의 균열부분이 수침상으로 부패하며, 과경부와 과정부 부근에서 많이 발생함

수확 전 따뜻하고 비가 왔던 해에는 저장 중에 피해가 계속적으로 나오는 일이 있음

 

2. 원 인

과피에 균열이 생겨 그 부분으로 병원균(녹색곰팡이병균, 백색곰팡이병균 등)이 침입하여 발생하며, 이 균열은 잘 관찰하지 않으면 알아차리지 못할 정도로 작은 균열이지만 오랜 시간 물방울이 괴어 있으면 감염되기 쉬움

과피가 비나 이슬로 장시간 동안 과실 표면이 젖어 있으면 하피세포가 침투압이 높아짐에 따라 표피세포는 흡수팽윤하여 점탄성(액체가 유동할 때 각 부분이 서로 탄력적으로 저항하는 성질)이 낮아지므로 내압을 견딜 수 없어서 균열이 일으킴

 

3. 대 책

우선 과실에 물방울이 묻지 않도록 봉지씌우기를 한다든지 비가 오기 전에 수확함

과피의 충실을 도모하기 위해 칼슘제 등의 살포로 피해를 예방할 수 있으며, 지베렐린 등 식물생장 조절에 대해서도 검토되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알려진 바가 없음

노지재배의 경우 균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착색기 비가 오기 전이나 비가 오는 도중 혹은 비가 온 후에 살균제(베푸란 액제, 벤레이트 수화제, 톱신 수화제 등)를 살포하여 예방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