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cknsInfList
1. 학명 : Polyphagotarsonemus latus
2. 피해와 진단
◦ 잎에서만 피해가 유발되는데, 초기에는 엽맥 주위가 검붉게 변하고 후기에는 엽맥보다는 엽육이 전체적으로 붉게 변함
◦ 총채벌레 피해 증상과 유사하나 총채벌레 피해 증상은 엽맥이 검게 변하지만 차먼지 응애 피해는 엽맥에 피해가 거의 나타나지 않음
3. 형 태
◦ 유충은 0.13mm 정도의 반투명한 유백색이고 다리가 3쌍이며, 초기에는 주름살이 많지만 자라면서 몸이 팽창하여 점차 암성충과 비슷한 모양이 됨
◦ 정지기에는 거의 움직이지 않고 0.23mm 정도로 유충보다 훨씬 크고 더 투명하며, 몸 뒤쪽이 길게 돌출됨
◦ 정지기에서 한 번 더 탈피하면 4쌍의 다리를 지닌 성충이 되고 암성충은 0.23~0.26mm,의 납작한 장타원형의 담갈색이며, 수컷은 0.17~0.21mm의 육각형 모양으로 황갈색임
4. 생 태
◦ 발육기간은 20℃에서 알에서 성충까지 기간은 13~14일 정도이고 시설 내에서는 월 6세대 이상 경과할 수 있으나 발육적온인 15~20℃보다 높아지면 사망률이 증가하고 산란율도 떨어짐
◦ 시설 내에서는 2~5월 다습한 조건에서 잘 발생하고 5월 이후 고온 건조한 상태가 되면 밀도가 감소하며, 노지에서는 9월에 피해가 심함
◦ 암컷 한 마리가 보통 50~60개의 알을 낳고 수명은 1~2주 정도 됨
5. 방제방법
◦ 한 세대기간이 짧아 일단 발생하면 급속도로 피해가 진전되므로 포장 내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것이 가장 중요함
◦ 등록된 약제가 없으므로 복숭아의 점박이응애에 등록된 약제를 이용하여 발생초기 방제하되 약해 등에 유의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