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종합병원

진단 및 처방

sicknsInfList

진단 및 처방

대만총채벌레
과수 > 무화과 > 충해

증상

해충

도감정보

대만총채벌레

영문명 : Garden thrips, Flower thrips

식물명 : 무화과

 

1. 학명 : Frankliniella intonsa

 

2. 피해와 진단

과일의 횡경이 25mm 정도 자랐을 때 과일 과정부 입구가 열리는데 이때 이곳을 통하여 과일 내로 침입하며, 시설재배에서 5월 중·하순경 과일에 침입하여 꽃을 가해하고 내부를 갈변시킴

가해 초기에는 외관상 증상이 나타나지 않아 과일을 절단하지 않고서는 피해를 확인할 수 없으며, 피해가 심한 경우 7월 상순에 과일 입구를 중심으로 보라색을 띠고 모양이 부정형으로 변하고 이렇게 변색된 과일은 성숙하지 못하고 결국 썩게 됨

심한 피해를 받지 않은 과일은 정상적으로 성숙하지만 쪼개보면 꽃이 위치한 중앙부위가 갈변되었거나 속이 비어있는 경우가 있음

과일이 착과되지 않은 시기에는 잎이 펴지기 전 잎을 감싸고 있는 잎포의 내부를 가해하며, 밀도가 높은 경우 최초로 착과되는 어린 과일이 갈색으로 변하면서 낙과되기도 하는데, 이런 현상을 발견하면 즉시 방제하여야 함

 

3. 형 태

성충은 1~1.5mm로서 암컷은 흑색~암갈색이고 수컷은 황색~황갈색이며, 약충과 번데기는 황색임

 

4. 생 태

낙화한 꽃과 낙엽 사이에서 성충으로 월동하며, 5월 상순부터 발생하기 시작하여 6월 중순에서 7월 중순에 발생이 가장 많음

발육시작온도는 10이며, 25에서 난기간은 3, 유충기간은 4, 번데기기간은 3일로 알에서 우화까지 10일 정도 걸리는데 암컷은 50일정도 살면서 500개의 알을 낳음

 

5. 방제방법

과원 주변 잡초 등을 제거하여 월동처를 없애고 광반사필름을 멀칭하고 광반사테이프를 붙여 과원 내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함

총채벌레는 번데기가 되기 위해 땅으로 떨어지기 때문에 재배상자를 멀칭하면 발생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임

한지를 조그마하게 잘라 과정부를 막아주면 피해를 막을 수 있음

발생초기 적용약제를 7일 간격으로 2~3회 방제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