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종합병원

진단 및 처방

sicknsInfList

진단 및 처방

배 가지검은마름병
과수 > > 병해

증상

병원균

도감정보

배 가지검은마름병

영문명 : Black stem blight

식물명 : 배

1. 병원균 : Erwinia pyrifoliae

 

2. 병징과 진단

: 가장 먼저 병징이 나타나는 부위로 꽃이 물에 데친 것 같이 되어서 후에 갈변하여 꽃자루로 번지며, 병에 걸린 꽃자루는 잘 떨어지지 않음

유과 : 물에 데친 것 같이 되며, 흑갈색으로 변하고 진물이 표면에 생기기도 함

과총 : 꽃 하나 또는 전체가 갈변하여 죽으며, 진물이 생겨 아래 가지로 병반이 번짐

신초 : 검게 되어 진물이 생기며, 진물은 아침에 생겨 햇빛이 나면 말라버리거나 자세히 보면 흔적을 볼 수 있음

줄기 : 줄기가 수침상으로 되어 번지며, 진물이 흘러내리며 오래된 병반은 거북등처럼 갈라짐

: 기공이나 상처로 침입하여 처음에는 괴사반점이 나타나나 중간 잎맥이나 잎줄기로 번져 흑갈색의 병반을 형성함

 

3. 발생시기 및 발생조건

해에 따라 발병시기가 다르나 5월 상중순부터 병징이 나타나기 시작하며, 기온이 최고 26~27이상으로 올라가면 병의 진전이 멈추는 것으로 보고

개화기에서는 13이하에서도 발병하는 예가 있고 19이내에서는 발병이 많으며, 25이하에서 비가 많이 올 때 식물조직이 연하게 자라서 발병이 많음

외국에서는 가을에 발병이 보고되고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발견된 적이 없음

주로 화분매개 곤충인 벌 등에 의해 충매 전염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며, 병반부위에 생긴 ooze가 흘러내리거나 옆으로 확산되어 전염

세균이므로 안개 등에 의해서도 전염될 수 있고 매우 낮은 병원균 밀도(1~102cfu/ml)에서도 발병되며, 조직 침입 후 발병까지 잠복기는 약 5

 

4. 방제방법

3월 과수원 주변 40m 이내 기주식물(모과나무) 제거하고 만개 1주일 이후 피는 꽃은 따서 매립 또는 소각조치

과원별 전용 전정도구를 사용하고 전정도구는 70% 알콜 또는 10% 차아염소산나트륨액으로 반드시 소독하여 사용

병징이 나타난 부위(진물이 흘러내려 묻은 부분 포함)는 병징이 나타난 가지의 분지점 20cm 아래를 절단하여 즉시 소각하고 타 지역 이송 금지

약제방제는 월동 병원균의 활성화 시기(3월부터 8이상 누적 온도가 420도달할 때)5월 상순경 1~2회 방제

병 발생 지역 : (1) 만개(80% 수준 개화) 이후 5±1아그리마이신(5+4) 수화제 2,000, (2) 1차 방제 후 10±1농용신(4)수화제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