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cknsInfList
1. 학명 : Spulerina astaurota
2. 피해와 진단
◦ 유충이 비교적 어린 가지의 표피를 불규칙한 선상으로 먹고 다니며 점차 식해흔을 넓혀서 갈변하게 되며, 드물게 과실 표피도 식해함
◦ 이 부분은 후에 벗겨져 가루깍지벌레나 점박이응애의 월동처로 이용됨
◦ 일반 과수원에서는 거의 발생하지 않으나 유기재배 등 무방제 과원에서 피해가 심한 경우가 있음
3. 형 태
◦ 성충은 약 5~7mm로 앞날개는 가로로 갈색 띠무늬가 4~5개가 보이며, 각각 배 마디의 끝 부분이 진한 갈색으로 구분되고 다리에도 각각 마디에 2개의 갈색 띠가 보임
◦ 번데기가 되기 전의 유충은 납작한 형태로 갈색의 머리와 유백색으로 몸 마디가 뚜렷하게 보임
4. 생 태
◦ 연 2회 발생하며, 가지의 표피 밑에서 2령 유충으로 월동함
◦ 제1회 성충은 6월 하순~7월, 제2회는 8~9월에 나타나며, 1년생 가지의 아래 부분에 산란함
◦ 유충이 가해한 다음 가지 표피의 맨 바깥쪽 표피 아래에서 2차 표피를 이용하여 고치를 만듦
5. 방제방법
◦ 동계 조피제거를 실시하고 기계유유제를 살포하며, 신초와 2년생 가지에 번데기를 제거함
◦ 등록된 약제는 없으나 5월 중~하순에 잎말이나방류와 동시방제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