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종합병원

진단 및 처방

sicknsInfList

진단 및 처방

참다래(키위) 과실연부병
과수 > 참다래 > 병해

증상

병원균

도감정보

참다래(키위) 과실연부병

영문명 : Ripe rot, Soft rot

식물명 : 참다래(키위)

1. 병원균 : Botryosphaeria parva, B. dothidea, Diaporthe actinidiae

 

2. 병징과 진단

초기에는 외부적으로 뚜렷한 증상이 없기 때문에 확인이 쉽지 않으며, 병이 진행되면서 과실의 일부분이 다소 움푹 들어가고 껍질 표면이 갈변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점차 확대됨

둥근 환을 형성하면서 썩고 썩은 부위가 다소 황녹색을 띄고 주변부가 진녹색의 수침상 병반을 형성함

껍질을 벗겨보면 물러 썩으면서 갈변 증상이 나타나며, 과육이 움푹움푹 패여 있음

 

3. 발생시기 및 발생조건

병원균은 과원에 남아 있는 고사한 가지나 수확 후 방치된 열매자루와 전정 가지에서 월동하며, 6월 중순~7월 하순 장마기에 잎과 과실로 가장 많이 비산하여 감염이 이루어지고 8월 상순 이후에는 급격히 감소하였다가 9월 가을비에 발생이 더욱 조장됨

과실 비대 최성기에 기온이 25~28일 때 가장 많은 감염이 이루어지고 과피 속에 잠복하고 있다가 수확 후 후숙 시 온도가 15이상이면 발병이 급증함

장마철에 비가 많이 내리고 강우 일수가 많은 해에 발생이 심하며, 수확 전부터 발병하고 낙과가 발생하기도 함

특히 착과량이 많고 수령이 오래된 과수원은 연부병 발생에 주의해야 함

 

4. 방제방법

전정한 가지는 과수원 내에 남아 있지 않도록 제거함

겨울전정 시 결과모지를 많이 남겨두면 신초가 지나치게 많이 발생하여 잎이 과도하게 무성해져 과수원의 수관 하부가 어둡게 되고 상대습도가 높아 병발생에 좋은 조건이 되므로 통풍과 투광이 잘 되도록 여름전정 및 정지작업을 철저히 함

후숙온도가 15이상 되지 않도록 후숙기간을 무리하게 단축시키지 않음

적용약제를 5월 하순~6월 상순에 10일 간격으로 방제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