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종합병원

진단 및 처방

sicknsInfList

진단 및 처방

뽕나무깍지벌레
과수 > 참다래 > 충해

증상

해충

도감정보

뽕나무깍지벌레

영문명 : White peach scale

식물명 : 참다래(키위)

1. 학명 : Pseudaulacaspis pentagona

 

2. 피해와 진단

주로 작은 가지의 아래쪽에 기생하여 즙액을 빨아먹고 잎에서는 잎자루와 잎 뒷면 그리고 과일에 기생하며 작은 상처를 남김

7월과 9월에 이동한 약충은 과일까지 이동하여 직접적인 피해뿐만 아니라 과일 표면을 오염시키는 피해를 줌

모든 품종에 피해를 주나 골드 계통이 헤이워드보다 피해가 많음

 

3. 형 태

암컷 성충은 원형으로 직경이 약 2mm의 조개모양 껍질이 붙어 있고 몸체는 황색 또는 등확색임

수컷 성충은 날개가 있고 몸길이는 0.9mm 정도이며, 등적색임

 

4. 생 태

3회 발생하고 성숙한 암컷으로 가지에서 월동

월동 성충은 40~200개의 알을 낳고 5월 상순부터 부화 약충이 출현하여 정착하면 밀랍을 분비하고 깍지를 만들기 시작하며, 3회 탈피하여 성충이 됨

1회 성충은 6월 하순, 2회는 8월 중순, 3회는 10월 상순경 발생

갓 부화한 약충은 활발히 기어다니며 분산하지만 1회 탈피 후에는 고착생활

수컷성충은 날개가 있으나 비상력이 약하고 극히 단명해서 24시간을 넘기지 못하고 죽음

 

5. 방제방법

겨울 전정을 끝내고 2월 이전에 기계유유제를 살포하여 밀도를 낮춤

약충이 이동하기 전인 4월 하순, 6월 하순, 8월 하순에 검은 천과 같은 재료로 5cm정도 굵기로 주간부에 중간중간 벤딩한 뒤 약충이 이동기가 지나고 정착한 후에 묶은 곳을 풀어 제거하면 밀도를 낮출 수 있음

깍지를 형성한 뒤에는 방제효과가 떨어지므로 약충이 서식처로 이동하는 시기5월 상·중순, 7 중순, 9월 상순에 적용약제로 방제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