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종합병원

진단 및 처방

sicknsInfList

진단 및 처방

포도 휴면병
과수 > 포도 > 생리장해

증상

도감정보

포도 휴면병

영문명 : Dormant

식물명 : 포도

1. 피해증상

발아기가 되어도 눈이 트지 않거나 눈이 트더라도 새 가지가 잘 자라지 않으며, 심한 경우에는 원줄기 또는 원가지가 갈라져서 지상부가 고사함

이러한 증상은 재식 후 2~3년째 어린 나무에 잘 나타나므로 3년병으로 불리기도 함

 

2. 원 인

질소를 너무 많이 주거나 밀식하여 전정을 지나치게 강하게 하면 새 가지의 생장이 너무 왕성하게 되어 늦게까지 자라게 되며, 이러한 가지는 목질화가 늦어지고 수체의 탄수화물 함량이 감소되어 내한성이 떨어져 휴면병에 약함

미국종은 내한성이 강하고 유럽종은 약한데, 같은 미국종이라도 캠벨얼리는 내한성이 강하여 휴면병에 강하나 거봉은 내한성이 약해 휴면병에 걸리기 쉬움

내한성은 1월에 가장 강하고 자발휴면이 끝나는 2월이 되면 급격히 낮아지는데 겨울철 10이하의 저온일수가 2월 이후에 많으면 심하게 발생하며, 또한 1월 중순부터 2월 하순까지 너무 건조하면 가지가 수분을 잃게 되어 내한성이 더욱 약해짐

 

3. 대 책

질소를 너무 많이 주었거나 열매를 지나치게 많이 달았던 나무에 쉽게 나타나므로 새 가지가 늦게까지 자라지 않도록 하며, 8월 중하순경에도 새 가지가 계속 자랄 때에는 끝부분을 순지르기 하거나 생장억제제를 처리해줌

추운 지방에서는 볏짚으로 원줄기를 싸서 보온과 건조를 함께 막아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