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cknsInfList
1. 병원균 : (잿빛고약병) Septobasidium bogoriense, (갈색고약병) S. tanakae
◦ 담자균에 속하며, 담자기는 무색, 방추형, 2~4개 격막, 크기 49~65×8~9㎛, 담자포자는 무색, 단세포, 크기 27~40×4~6㎛임
2. 병징과 진단
◦ 이 병은 널리 분포하나 큰 피해는 없으며, 생육기간 중 언제든지 발생함
◦ 병원균과 병징의 차이에 따라 잿빛고약병과 갈색고약병으로 구분함
◦ 줄기와 가지에 고약을 붙인 것처럼 갈색 내지 암갈색의 균총이 붙어 있으며, 심하게 감염된 가지는 말라 죽음
◦ 잿빛고약병은 다색이지만 나중에는 쥐색, 자색을 띤 감갈색, 흑색의 띠를 두른 것과 같이 변하며, 갈색고약병은 보통 갈색이고 가장자리에 좁은 회백색의 띠가 있음
3. 발생시기 및 발생조건
◦ 자실층에서 형성된 담자포자가 비산하여 공기전염 되며, 6~7월 이후부터 전염이 시작되고 약제방제를 소홀히 하거나 폐원에서 간혹 발생하는 경우가 많음
◦ 병원균은 깍지벌레류 등의 분비물을 영양삼아 번식하고 가지에 균사로 침입하며, 보통 갈색이며, 가장자리에 좁은 회백색의 띠를 형성함
4. 방제방법
◦ 동계에는 석회유황합제를 살포하여 예방하고 생육 중에는 등록된 약제가 없으므로 잿빛무늬병 약제를 이용하여 방제함
◦ 병든 가지는 잘라 버리고 과원에 깍지벌레 등이 번식되지 않도록 철저히 관리함
◦ 약한 병반일 경우 병든 부위를 제거하고 석회유황합제를 10배정도 희석하여 발라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