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cknsInfList
1. 학명 : Myzus persicae
2. 피해와 진단
◦ 육묘과정에서 특히 발생이 심하며, 주로 신초나 새로 나온 잎에 붙어서 흡즙하고 가해를 받은 잎은 아래쪽으로 구부러지고 쭈글쭈글해지며, 신초의 신장이 억제됨
◦ 직접적인 피해 이외에 여러 종류의 바이러스를 매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3. 형 태
◦ 무시충은 난형인데 담녹색 내지 담황녹색인 것과 담홍색인 것의 두 가지 유형이 있고 기온이 낮은 시기에 담홍색 개체가 많이 발생하며, 뿔관은 흑색이고 중앙부가 약간 팽대되어 있음
◦ 유시충은 담적갈색이고 배의 등면에는 각 마디에 흑색의 띠와 반문이 있고 뿔관은 중앙부 뒤쪽이 팽대되어 있음
4. 생 태
◦ 겨울기주인 복숭아, 매실, 자두나무의 겨울눈이나 조피 속에서 알로 월동하며, 3월 하순~4월 상순에 부화하여 간모가 됨
◦ 간모는 단위생식을 하면서 겨울기주에서 1~2세대를 지낸 뒤 5월 상중순경에 유시충이 발생하여 여름기주로 이동
◦ 10월 중하순까지 가해하다가 겨울기주로 돌아와 산란성 암컷과 수컷이 생겨 교미하고 조피 등에 월동할 알을 낳음
◦ 연 9~23세대 발생하며, 한 세대의 성숙기간은 약 11일, 생식기간은 16일, 수명은 29일로 암컷 한 마리가 약 50마리의 새끼를 낳음
5. 방제방법
◦ 유시충이 날아와 증식하기 시작했을 때 적용약제를 살포
◦ 이후 저항성 발달을 막기 위해 동일 계통의 약제를 피하여 다른 계통으로 번갈아 살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