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cknsInfList
1. 병원균 : Ustilaginoidea virens
◦ 자낭균류에 속하며, 벼알 외부 검은색 덩어리 표면에 많은 후막포자가 형성되고 후막포자는 원형의 단세포로 크기 4~6㎛이고 표면에 작은 돌기를 만듦
◦ 일부 이병립에 균핵이 형성되기도 하고 균핵이 발아되어 자실체를 형성하며, 여기에 자낭이 형성되고 1개의 자낭에 8개의 실모양 자낭포자를 형성함
◦ 이 병원균도 ustilaginoidins와 ustiloxins와 같은 진균 독소를 분비하여 인축에 해를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2. 병징과 진단
◦ 개화기부터 1~2주일이 지나면 벼알에만 발생
◦ 병징은 벼알의 작은 껍질(내영)과 큰 껍질(외영) 표면에 황록색 및 암녹색의 돌출물이 완전히 종피를 둘러쌓아 육안으로 쉽게 구분
◦ 벼의 작황이 좋을 때 발생이 많아 일명 풍년병이라고 함
3. 발생시기 및 발생조건
◦ 병원균은 균핵 또는 후막포자로 토양에서 월동하여 이듬해 수잉기에 엽초에 부착하여 출수기 이후 벼알로 이동 발생
◦ 질소질 비료의 과용과 개화기의 낮은 온도 및 강우가 많을 때 발병이 많이 됨
◦ 산간 고랭지 등 일조부족 포장 및 만생종과 이앙이 늦은 경우 발생이 조장
4. 방제방법
◦ 발병되지 않은 포장의 건전한 종자 사용
◦ 질소질 비료의 과용 금지와 규산질 비료의 사용으로 병 발생 예방
◦ 발병이 우려되는 지역은 적용약제를 출수 7일 전 살포하며, 이삭도열병과 동시방제(무인항공)
☞ 적용약제 : 헬리건(다3+타), 논사랑(미분류+자1), 벼천왕(자2+다2), 신호탄(라3+다3), 미드마(나1+자1), 울타리(나4+사1), 올크린(다3)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