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종합병원

진단 및 처방

sicknsInfList

진단 및 처방

벼멸구
식량작물 > > 충해

증상

해충

도감정보

벼멸구

영문명 : Brown planthopper

식물명 : 벼

1. 학명 : Nilaparvata lugens

 

2. 피해와 진단

주로 벼포기 아랫부분에서 성충과 약충이 직접 볏대의 즙액을 흡즙

벼멸구가 많이 발생했을 경우에는 8월 하순(2세대 약충기)~9월 상순(3세대 약충기)에 전형적인 고사현상(hopperburn) 피해발생

배설된 배설물에 의해 그을음병이 발생되어 2차적인 피해

 

3. 형 태

성충은 장시형 4.5~5mm, 단시형은 3.3mm 정도이고 몸과 머리는 암갈색을 띰

약충은 부화 직후에는 암흑색이지만 차츰 담갈색~흑갈색을 나타내고 눈 아래쪽에 흰색 밀랍물질이 분비되므로 양눈 밑이 밝게 보임

 

4. 생 태

6월 중하순~7월 중하순에 중국 남부지역에서 날아3~4세대 경과

1세대당 경과일수는 25에서 27(산란전기간 4, 알기간 9, 유충기간 14)이며, 6~9월 사이에는 24~34일만에 1세대 경과

성충수명은 30일 정도이고 단시형 암컷은 450, 장시형 암컷은 380개 정도 산란

세대별 증식배수는 1세대 후 15, 2세대 후 130, 3세대 후 513배로 증가

 

5. 방제방법

비래 후 1세대 약충기가 방제적기로 1차 방제적기는 7월 하순~8월 상순으로 20주당 15마리 발생했을 경우(무인항공)

1차 방제적기를 놓쳤을 경우 2차 방제적기는 8월 중·하순으로 20주당 50마리 발생했을 경우로 이 때 벼 이삭이 출수하는 시기 및 이화명나방 2화기 방제시기가 일치하는 지역에서는 이삭도열병, 이화명나방과 동시방제 실시

2차 방제시기는 잎이 무성하므로 충분한 양을 아래쪽까지 충분히 뿌려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