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종합병원

진단 및 처방

sicknsInfList

진단 및 처방

흰등멸구
식량작물 > > 충해

증상

해충

도감정보

흰등멸구

영문명 : White-backed planthopper

식물명 : 벼

1. 학명 : Sogatella furcifera

 

2. 피해와 진단

성충과 약충이 직접 볏대를 흡즙하여 아랫잎이 누렇게 변색되고 초장 감소 등 초기생육 부진, 심하면 상위엽까지 갈색으로 변하고 출수 지연

벼멸구와 달리 포장 내에 균일하게 분포하기 때문에 피해도 포장 전체에 균일하게 나타남

출수기에는 약충과 성충이 벼의 상부를 집중적으로 흡즙하여 흑점미 유발

 

3. 형 태

성충은 장시형 4~4.5mm, 단시형은 2.5mm 정도이고 몸은 담황색이고 등쪽에 다이아몬드 형태의 백색 무늬가 있음

약충은 유백색 또는 흑갈색으로 배마디 사이의 막에는 백색 밀랍 가루가 많이 붙어 있음

 

4. 생 태

벼멸구와 같이 6~7월의 중국에서 비래하나 벼멸구보다 일찍 비래하고 비래량도 10배 이상 많으나 해에 따라 변화가 심함

비래 후 1세대 약충의 밀도가 가장 높고 8월 중순경 출수 전후에 밀도가 급격히 감소

1세대 경과에는 25에서 24(산란전기간 4.6, 알기간 7.6, 약충기간 13), 6~8월 사이 20~30일만에 1세대 경과, 성충 수명은 15.6, 250개 정도 산란

 

5. 방제방법

벼멸구와 발생시기 등이 비슷하므로 벼멸구 방제기준에 준하여 방제

방제가 필요한 밀도는 7월 하순에 20주당 100마리, 8월 중순에 400마리

이앙시기가 늦은 곳에 집중 발생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비래 1주일 후 약제살포가 효과적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