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종합병원

진단 및 처방

sicknsInfList

진단 및 처방

멸강나방
식량작물 > > 충해

증상

해충

도감정보

멸강나방

영문명 : Rice armyworm

식물명 : 벼

1. 학명 : Mythiman separata

 

2. 피해와 진단

알에서 부화한 유충은 밤낮 구분 없이 1~5일 동안 벼의 잎을 갉아먹다가 점차 분산

4령 이후에는 낮에는 지표면에 숨어 있다가 밤에만 나와 잎, 줄기, 이삭까지 폭식하며, 먹이가 부족해지면 다른 논을 떼를 지어 이동

 

3. 형 태

성충은 몸길이 18mm, 날개편 길이 40mm 정도인 중형나방으로 담갈색의 앞날개 중앙에 황백색 무늬가 1개 있음

유충은 체색 변이가 많고 다자란 유충은 45mm 이르며, 머리는 황갈색으로 앞에서 보면 갈색의 자 무늬가 있음

 

4. 생 태

중국에서 비래하는 해충으로 연간 1~2회 발생

1회 성충은 5월 하순~6월 상순, 2회 성충은 7월 중순 발생하며, 8월에 벼에 대발생하는 경우도 있음

비래한 성충은 당류를 흡즙해야만 산란할 수 있으며, 알은 20~30개씩 무더기로 700개정도 산란

부화 후 식물체를 섭식하면서 다 자란 유충은 땅속 2~4cm에서 흙이나 잎 부스러기 등을 이용하여 엉성한 고치를 만든 다음 번데기

성충수명은 10~25, 알기간 4~5, 유충기간 25~26, 번데기기간 7~10

 

5. 방제방법

방제적기는 주비래일부터 15~19일이며, 이시기는 2~3령 유충기에 해당

4~5령 유충부터는 약제에 대한 감수성이 낮아 약제방제 효율이 떨어지므로 조기예찰을 통한 유충의 초기방제가 매우 중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