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종합병원

진단 및 처방

sicknsInfList

진단 및 처방

벼 잎끝 마름
식량작물 > > 생리장해

증상

도감정보

벼 잎끝 마름

영문명 :

식물명 : 벼

1. 피해 증상

7월 하순경 고온기로 접어들면서 잎 끝이 적갈색으로 마르는 증상으로 갈색잎마름병으로 혼동하기 쉬움

8월 중순으로 넘어가면서 잎 끝이 갈라지고 너덜해지며, 비료기가 많은 곳에서 증상이 심함

피해 벼 뿌리는 발달이 저조하고 토양에 붉은 반점이 형성됨

 

2. 원 인

토양 모재가 산성암인 잠재적특이산성토 및 미숙답 등에서 쉽게 발생됨

비가 적고 고온기로 접어들면서 일시적으로 강환원 상태가 유발되며, 수소(H) 또는 황산이온(SO4)에 의해 토양산도가 급격히 저하되어 산성(pH 3.0 내외) 되고 철분 등이 과다하게 용출되어 벼 뿌리의 발육에 장해를 유발시킴

벼 잎의 증산량에 비해 뿌리의 수분 흡수가 원활하지 못해 발생되는 수분생리 장해로 벼 잎 끝에서부터 말라 들어가고 강한 바람으로 잎끝이 찢어지기도 함

 

3. 대책 및 예방

고온기가 지나면 회복되므로 특별한 대책은 필요 없으나 장애가 심한 논은 온도가 낮고 용존산소가 풍부한 새물로 흘러대기를 하여 정체수(산성)를 배수하고 근권 산화를 유도함

특이산성토의 경우 유안이나 황산가리 등과 같이 황이 함유된 비료시용은 가급적 지양함

매년 토양검정에 의해 규산질 비료를 시용(150~200kg/10a)하여 토양을 개량하고 볏짚 등 미부숙 유기물의 과도한 시용을 자제하여 환원을 방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