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종합병원

진단 및 처방

sicknsInfList

진단 및 처방

고구마 덩굴쪼김병(만할병)
식량작물 > 고구마 > 병해

증상

도감정보

고구마 덩굴쪼김병(만할병)

영문명 : Stem rot

식물명 : 고구마

1. 병원균 : Fusarium oxysporum f. sp. batatas

불완전균에 속하며, 대형분생포자는 초승달 모양, 3~5개 격막, 크기 25~ 50×2.7~4이며, 후막포자는 구형, 크기 7~10정도임

 

2. 병징과 진단

묘상에서도 발생하나 주로 삽식 후 4~5주 이내 발병됨

처음에는 하엽 일부가 누렇게 변색되기 시작하며 먼저 변색된 잎부터 떨어지고 어린잎만 변색되어 남아 있음

줄기를 뽑아보면 삽수 끝의 상처부위나 잎자루가 붙어 있는 부위가 까맣게 변색되어 죽어가는 것을 볼 수 있음

늦게 땅가 부위에서 감염된 이병주는 줄기가 부풀어 쪼개지며, 여기에 담홍색의 곰팡이가 밀생하기도 함

일부 저항성 밤고구마나 중점질 고구마는 표피에 검은 먹점이 있거나 먹점으로 인해 표피가 갈라지는 현상을 보임

 

3. 발생시기 및 발생조건

병원균은 후막포자의 형태로 토양 속에서 생존하고 있다가 묘의 상처를 통하여 도관 내에 침입하며, 본포에 묘를 심은지 20일 후면 병이 발생하기 시작하고 고온이 지속되는 6~7월에 많이 발생함

생육후기에 감염된 그루는 외관상 큰 이상이 없어 보이며, 괴근의 눈에 병원균이 잠복하고 있다가 씨고구마로 사용할 때 병원균이 고구마 묘에 감염되어 병을 일으킴

오래된 연작 포장에서 심하게 발생하며, 특히 배수가 잘 되는 하천변의 사질 내지 사양질 토양에서 피해가 큼

 

4. 방제방법

연작을 피하고 건전한 씨고구마를 사용하며, 병든 그루는 발견 즉시 제거함

묘 채취 시 땅이 닿는 부위에서 2~5cm 부위를 잘라 절단부위 균 침입을 막고 채취 후 상처부위가 잘 아물도록 큐어링(음지에 2~3일 저장)을 함

씨고구마는 47~48의 더운물에 40분간 침지하면 소독효과와 싹트는 것도 촉진됨

저항성 품종으로 생미, 은미, 원미, 홍미, 증미, 신건미(목포 37), 목포 22 등이 있으며, 율미, 연황미 등은 중~중약 정도의 저항성을 나타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