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cknsInfList
고구마 둥근무늬병병원균 균사 접합 꺽쇠연결
고구마 둥근무늬병병원균 균사 접합 꺽쇠연결 2
고구마 둥근무늬병병원균 상처를 통해 감염된 증상
고구마 둥근무늬병병원균 피근 표면에 형성된 균사체
1. 병원균 : Athelia rolfsii (불완전세대 : Sclerotium rolfsii)
2. 병징과 진단
◦ 병원균은 균사체가 흰 명주실 모양으로 자라기 때문에 다른 작물에서는 흰비단병으로 불리기도 하는데, 생육 중에 침입하여 발병시켰다가 저장 중에 진전되고 감염된 씨고구마로부터 전반됨
◦ 고구마 종순 생산 포장 군데군데 불규칙적으로 원형의 움푹하게 고사된 증상이 나타나고 땅가 부위 중심으로 고구마 종순의 지제부가 잘록해지거나 물러지면서 흰색 곰팡이가 펴 시간이 경과되면 명주실 모양의 균사가 엉켜 있음
◦ 병원균이 토양에 있을 때 덩이뿌리에는 큰 피해를 입히지 못하고 주변에 균사체 또는 균핵을 형성하며, 상처가 있을 경우 침입하여 둥근 모양으로 약간 움푹 들어간 병징을 나타냄
◦ 생육 중에 발생했던 고구마를 저장하면 저장 중 균사 형태로 고구마 주변에 존재하다가 씨고구마를 파종하게 되면 토양에서 증식하여 고구마 내부에 침입하여 씨고구마를 썩게 함
3. 발생시기 및 발생조건
◦ 병원균은 토양 중에 광범위하게 존재하는 균이나 토양에서 생존하려면 기주식물의 잔해가 있어야만 함
◦ 고구마 육묘를 연작하였다면 토양 속에 균이 존재할 확률이 매우 높음
◦ 육묘 후 씨고구마를 제거하지 않고 그냥 남겨놓았을 경우 특히 발생이 심함
4. 방제방법
◦ 미숙퇴비(특히 동물성 퇴비)를 주었을 경우 발생이 심하므로 완숙퇴비를 사용
◦ 고구마 외부에 흰 균사가 있거나 움푹 들어간 형태의 병반이 있는 씨고구마를 사용하지 않음
◦ 일단 발생한 묘상은 절대로 씨고구마를 심지 않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