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cknsInfList
1. 학명 : Agrius convolvuli
2. 피해와 진단
◦ 커다란 유충이 잎 뒷면에서 잎 전체를 갉아 먹으며, 피해를 받은 잎은 잎맥조차 없이 하나도 남지 않음
3. 형 태
◦ 다 자란 유충은 80~90mm로 매우 크고 몸 표면은 평평하고 매끄러우며, 꼬리쪽 등면에 9~10mm 정도의 돌출물이 있음
◦ 몸 양면의 기문은 크고 고리 모양의 무늬처럼 보이며, 체색은 변이가 있어 녹색형과 갈색형이 있음
◦ 성충의 날개 편길이는 90~100mm로 몸과 날개는 암회색이고 가슴은 갈색 바탕에 흑색의 세로줄이 있으며, 배의 등면은 회색이고 각 배마디마다 백색, 적색, 흑색의 3색으로 이루어진 횡대 무늬가 있음
◦ 앞날개에 흑갈색 또는 흑색의 복잡한 물결모양 무늬가 있으나 개체에 따라 변이가 심하여 물결모양의 무늬가 불분명한 경우도 많음
4. 생 태
◦ 번데기로 월동하고 5월부터 우화하여 연 2회 발생함
◦ 유충은 8~10월에 많이 출현하고 녹색형과 갈색형 변이가 있어 두 종처럼 보이도 하며, 행동은 매우 느리고 한 잎을 다 먹어치운 후 새로운 잎으로 천천히 이동함
5. 방제방법
◦ 토양 속에서 번데기로 월동하므로 봄에 밭을 갈 때 흙 위로 노출되는 번데기를 잡아 죽이고 정식하기 전 토양살충제를 혼화처리 하여 방제
◦ 생육기에 발생이 많으면 나방류 전용약제를 잎 뒷면까지 골고루 충분히 살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