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cknsInfList
1. 학명 : Bedellia somnulentella
2. 피해와 진단
◦ 유충은 부화하자마자 엽맥을 따라 선 모양의 굴을 만들고 잎 속으로 파고 들어가 갈색의 반투명한 텐트 모양의 굴속에서 가해함
◦ 3령이 되면 장소를 이동하여 잎맥으로 둘러싸인 담갈색의 반투명한 무늬를 만들고 가해함
◦ 잎 뒷면에서 표피만 남기고 엽육을 먹는데, 때로는 잎을 옮겨가며 굴을 만들기도 함
◦ 봄철에 피해가 약간 발생한 뒤 여름에는 극히 적었다가 8월부터 수확기까지 급격히 발생이 증가하며, 배 끝을 바깥으로 내고 배설하므로 먹어들어간 구멍 주위에 배설물이 검게 붙어 있음
◦ 많이 발생하면 잎이 하얗게 되었다가 점차 갈색으로 변하면서 마르며, 심하면 밭 전체가 마치 불이 지나 간 것처럼 벌게서 쉽게 인지할 수 있음
3. 형 태
◦ 날개편 길이 8~11mm의 소형나방으로 머리와 가슴 부분은 엷은 회황색이며, 더듬이는 회갈색으로 나타나고 앞날개의 바탕색은 엷은 황색이나 색체 변이가 있음
◦ 여름형은 소형의 회갈색으로 후연 이외의 날개 표면에 암갈색 인편이 빽빽이 덮여 있음
◦ 가을형은 다소 크고 어두우며, 뒷가장자리에 암갈색의 점이 몇 개 있음
◦ 다 자란 유충은 6~7.5mm로 머리는 다소 편평하고 반투명한 연한 녹색을 띠며, 복부는 연한 녹색이고 앞에서부터 점차 폭이 넓어져 제3~6마디가 가장 넓으며, 각 마디마다 흰색과 붉은색의 무늬가 있음
4. 생 태
◦ 밭이나 잡초 사이에서 성충으로 월동한 뒤 다음해 봄에 메꽃과의 식물에서 1~2회 발생한 후 고구마로 이동하여 잎 뒷면의 엽맥에 1~2개씩 산란함
◦ 연간 발생횟수가 많아 가을철에는 세대가 중복되며, 25℃에서 약 20일만에 한 세대를 마침
5. 방제방법
◦ 등록된 약제는 없으나 뒷날개흰밤나방에 등록된 약제를 이용하여 방제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