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cknsInfList
1. 학명 : Holotrichia morosa (큰검정풍뎅이), H. diomphalia (참검정풍뎅이),
Anomala rufocuprea (애풍뎅이(오리나무풍뎅이))
2. 피해와 진단
◦ 고구마 포장에서 발생하는 굼벵이 종류는 큰검정풍뎅이, 참검정풍뎅이, 애풍뎅이며, 대부분 피해를 주는 것은 큰검정풍뎅이임
◦ 풍뎅이류에 의한 피해는 8월 하순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여 수확기까지 지속됨
◦ 7~8월에 성충이 산란한 알에서 부화한 유충은 땅속으로 파고 들어가 생육중인 고구마의 괴경 표면에 띠 모양의 식흔을 만들며서 피해를 주고 피해 최성기는 8~9월임
◦ 피해는 유기물이 많은 식양토, 양토에서 많고 모래 비율이 높은 토양일수록 피해가 적음
3. 형 태
◦ 큰검정풍뎅이는 참검정풍뎅이와 비슷하여 구별하기 어려우며, 몸길이가 20mm 내외로 몸 전체에 광택이 없는 것이 참검정풍뎅이와 다른 점임
◦ 유충도 매우 유사한데 유충의 항문공이 W자 모양이며, 머리에 있는 거꾸로 된 Y자 모양의 선 옆에 있는 센털의 수가 큰검정풍뎅이는 1개, 참검정풍뎅이는 2개로 구분함
◦ 애풍뎅이 몸길이는 13~16mm로 몸 전체에 금속광택을 띠는데 색깔은 녹색, 청색, 구리빛, 밤갈색 등 다양하며, 유충의 항문공 모양은 U자 형태를 띰
4. 생 태
◦ 큰검정풍뎅이는 연 1회 발생하고 대부분 3령 유충으로 땅속 30cm 정도에서 월동하며, 성충은 6월 상순~9월 상순까지 발생하고 7~8월에 최성기를 보이며, 산란은 땅속에 1개씩 20~40개의 알을 낳음
◦ 참검정풍뎅이는 2년에 1회 발생하며, 3령으로 월동한 유충은 8월 하순부터 번데기가 되고 번데기 기간은 18~20일 정도이며, 우화된 성충은 지상부로 나오지 않고 그대로 겨울을 지낸 다음 4월 하순부터 지상으로 나와 교미하고 산란함
◦ 애풍뎅이는 연 1회 발생하는데 정확한 생태는 아직 조사되지 않았지만 2~3령 유충으로 월동하여 성충은 5월 하순~8월 하순까지 발생하는데 7월 중순에 최성기를 보임
5. 방제방법
◦ 성충은 미숙퇴비의 부패 시 특유의 냄새에 유인되어 산란하므로 지나치게 미숙퇴구비를 사용하지 말아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