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cknsInfList
1. 학명 : Meloidogyne incognita
2. 피해와 진단
◦ 피해를 받은 덩이뿌리는 표면에 혹이 형성되거나 부풀어 올라 기형이 되며, 세로로 쪼개져 병원균의 침입을 용이하게 함
◦ 뿌리혹선충은 토양병원균과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덩굴쪼김병과 시들음 증상의 발생을 조장함
◦ 피해를 받은 덩이뿌리를 단면으로 잘라 현미경으로 보면 가장자리에 뿌리혹선충 암컷과 주변 조직의 세포가 비대해져 있고 심한 경우 검게 썩어 있음
◦ 지상부 피해 증상은 뚜렷하지 않으나 선충밀도가 높으면 뿌리 발달이 불량해져 건조기에 황화, 생육저해 등의 증상으로 나타남
3. 형 태
◦ 암컷 성충은 체장 0.5~0.7mm, 체폭 0.3~0.5mm의 원통형이고 수컷은 실 모양으로 체장은 1.1~1.9mm, 체폭은 40㎛ 정도임
4. 생 태
◦ 알이나 유충으로 월동하며, 이른 봄 날씨가 따뜻하여 지온이 올라가면 알속에서 1회 탈피하여 활동적인 2령 유충이 됨
◦ 부화한 2령 유충은 뿌리 조직 속으로 침입한 후 유관속부분으로 이동하여 정착하고 3회 탈피한 후 성충이 되며, 정착한 부위는 세포가 비대해져 뿌리혹이 형성됨
◦ 암컷은 주로 식물체 밖으로 알주머니를 만들고 그 속에 300~500개의 알을 산란하며, 수컷은 식물체 밖으로 나와서 자유생활을 함
◦ 포장에서 연 2회 정도 발생하며, 1세대 기간은 25℃에서 40~50일 소요됨
5. 방제방법
◦ 기주식물이 없으면 증식이 불가능하므로 비기주작물인 벼, 참깨, 들깨, 옥수수, 양파, 부추, 시금치, 쑥갓, 무, 파 등으로 윤작재배를 함
◦ 국내에서 육성된 품종 중 주황미 등이 선충 저항성이 강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