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cknsInfList
보리 누른모자이크병 피해 증상
보리 누른모자이크병 피해 증상 2
보리 누른모자이크병 피해 증상 3
보리 누른모자이크병 피해 증상 4
보리 누른모자이크병 피해 증상 5
보리 누른모자이크병 피해 증상 6
1. 병원균 : Barley yellow mosaic virus (BaYMV)
2. 병징과 진단
◦ 황록색 또는 황백색의 반점이 잎 전면에 나타나며, 심할 때는 아래 잎부터 황색으로 변하여 식물체 전체가 황색으로 변하고 초장도 매우 작아지며, 뿌리의 발달이 극히 미약하고 흑색으로 변해 말라죽음
◦ 출수는 되나 이삭의 1/3~1/2이 불임이 되어 백색으로 마르고 나머지 부분도 전혀 여물지 않거나 충실하지 못함
◦ 보리알은 건전 잎보다 거칠고 작으며, 색깔이 좋지 않고 까락이 잘 떨어짐
◦ 발병 시기는 3월 상순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여 4월 상․ 중순이 가장 심함
3. 발생시기 및 발생조건
◦ 토양 전염 바이러스로 진균의 일종인 Polymyxa graminis균이 매개하고 즙액전염 및 종자연염은 되지 않음
◦ 감염 시기는 파종 후 30~40일 이내로서 파종 후 30일간 평균기온이 10~13℃일 때 발병이 많음
◦ 파종 적기보다 일찍 파종하면 발병이 많고 배수 불량 포장, 알칼리성과 중성 토양, 석회, 퇴비 등 유기질비료 과용, 질소질비료 가리비료가 부족한 경우에 피해가 많음
4. 방제방법
◦ 발병지에서는 보리의 연작을 피하고 토양 반응이 중성이거나 알칼리성인 경우 석회나 재의 사용을 피하고 산성비료를 시용함
◦ 질소와 가리비료를 적량 시용하고 배수 불량지는 배수가 원활하게 두둑을 높이고 골을 깊게 함
◦ 발병이 심한 포장은 화본과 작물을 재배하지 않고 콩과작물 등으로 대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