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cknsInfList
보리 붉은곰팡이병 병원균 분생포자
보리 붉은곰팡이병 씨알 껍질의 분생포자 덩어리
보리 붉은곰팡이병 보리 증상
보리 붉은곰팡이병 보리 증상 2
보리 붉은곰팡이병 밀 증상
보리 붉은곰팡이병 호밀 증상
1. 병원균 : Gibberella zeae (불완전세대 : Fusarium graminearum)
◦ 자낭균에 속하며, 자낭포자는 방추형, 3개 격막, 크기 21~72×3~6㎛임
◦ 분생포자는 초승달형, 3~5개 격막, 크기 35~72×4~6㎛, 후막포자는 구형 내지 난형, 크기 8~12㎛임
◦ 식물체 직접적인 피해보다는 진균독소 Deoxynivalenol(DON), Nivalenol (NIV), Zearalenone(ZEA) 등을 생성하여 인축에 피해를 일으킴
2. 병징과 진단
◦ 병든 이삭에서 초기에는 일부 씨알이 갈색으로 변색되고 점차 진전되면 씨알의 껍질부위에 적색의 분생포자 덩어리가 형성됨
◦ 맥류 씨알 사이에는 흰 균사가 발생하기도 하며, 오래된 병환부에는 흑색소립(자낭각)이 형성됨
◦ 줄기에 발생하면 잎집의 부착부위가 갈색으로 변하며, 아주 어린 묘에 발생하면 그루 전체가 말라 죽음
3. 발생시기 및 발생조건
◦ 병원균은 종자, 그루터기, 토양 등에서 월동하여 1차 전염원이 되며, 병징에서 형성된 분생포자가 비산하여 급속히 확산됨
◦ 주로 출수 후 이삭에 발생하나 유묘, 줄기, 뿌리 등에도 발생하여 피해를 주며, 심하게 이병된 종자는 파종 직후 발아가 되지 않고 썩어버림
◦ 병원균의 생장 최적온도는 24~28℃이며, 가을 파종기의 온도가 15℃ 내외일 때 발생이 많고 10℃ 이하일 때는 발생이 적음
◦ 강우일수가 많아 95% 이상의 상대습도가 3~5일 이상 지속될 때 발생이 급격히 증가하고 특히 출수기 이후의 계속되는 강우는 병 발생에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알려져 있음
4. 방제방법
◦ 배수관리를 잘하여 습해를 받지 않도록 주의하고 수확 즉시 건조시켜 병든 씨알의 확산을 방지함
◦ 출수기에 적용약제로 1차 방제하고 10일 후 2차 방제
※ 경제적 피해 허용수준 : 10a당 수량 432.4kg으로 가정했을 때 이병수율 3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