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종합병원

진단 및 처방

sicknsInfList

진단 및 처방

콩 미이라병(목내이병)
식량작물 > 퀴노아 > 병해

증상

도감정보

콩 미이라병(목내이병)

영문명 : Pod and stem blight

식물명 : 콩

1. 병원균 : Diaporthe phaseolorum (불완전세대 : Phomopsis phaseoli)

자낭균에 속하며, 자낭각은 포도상으로 군생, 최대 500까지 긴 목을 가지며, 자낭은 곤봉형, 얇은 2중막, 크기 25~40×5~10, 자낭포자는 타원형, 1개 격막이 있고 격막부위가 약간 잘록하며, 크기 9~11×2.5~3.5

병자각은 구형 내지 부정형, 그 안에 α포자(방추형 내지 타원형, 크기 6~10× 2~3)β포자(곧거나 굽은 사상형, 크기 20~30×0.5~1) 형성

 

2. 병징과 진단

잎에서는 암갈색의 원형 병반이 형성되고 병반의 가장자리는 황갈색을 띠며, 후에 병반의 내부에는 검은 소립의 병자각이 형성됨

줄기와 꼬투리에서는 감염부위가 백색을 띠고 표면에 검은 소립의 병자각이 많이 형성됨

병든 종자는 회백색으로 변하며, 발육이 부진하고 위축되어 미이라상으로 보임

 

3. 발생시기 및 발생조건

병원균은 균사의 형태로 종자 혹은 병든 식물체의 조직 내에서 월동한 다음 작물의 생육기 중에 자낭각 혹은 병자각에서 자낭포자 혹은 분생포자를 형성하여 1차 전염원이 됨

감염은 온도가 20이상 높고 습도가 높은 조건에서 많이 이루어지며, 특히 꼬투리에 대한 감염은 꼬투리의 황숙기에 가장 많이 이루어짐

식물체에 칼리가 부족하거나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 혹은 곤충에 의한 피해가 있을 때 병 발생이 심하게 됨

종자에 감염된 병원균은 1차 전염원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병원균은 종자 내에서 2년간 활성을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4. 방제방법

무병지에서 채종한 종자를 사용하고 종자를 적용약제로 소독하여 파종

수확이 늦어질수록 종자 감염이 증가하기 때문에 성숙 즉시 수확하며, 수확 후 병든 식물체는 모아 불에 태워버리거나 깊게 경운함

발생이 심한 포장은 화본과 작물이나 십자화과 채소류 등으로 돌려짓기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