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cknsInfList
1. 병원균 : Peronospora manshurica
◦ 크로미스터계 난균에 속하며, 절대기생균으로 인공배양되지 않음
◦ 포자낭병은 나뭇가지 모양, 쌍두형 분지, 포자낭은 난형 혹은 준구형, 크기 20~24×16~20㎛, 난포자는 구형, 표면은 매끈하고 직경 24~40㎛임
2. 병징과 진단
◦ 잎, 꼬투리, 종자에 발생하며, 잎 표면에 처음에는 부정형의 퇴색한 반점이 생기고 감염부위가 담황색을 띰
◦ 병이 진전되면 병반이 융합하여 부정형으로 확대되고 잎 뒷면에는 희고 가는 털 모양의 곰팡이가 형성되며, 병든 잎은 후에 퇴색되고 누렇게 말라 죽음
◦ 병든 꼬투리와 종자의 표면에는 회색의 곰팡이가 자라 균총 덩어리가 형성됨
3. 발생시기 및 발생조건
◦ 병원균은 난포자의 형태로 종자 혹은 병든 식물체의 조직 내에서 월동한 다음 포장낭 및 포자를 형성하여 공기전염을 함
◦ 기온이 서늘하고 습도가 높을 때 새로 감염된 잎에서 포자가 형성되어 다른 잎으로 공기전염이 이루어지며, 노쇠한 잎에서는 포자형성이 잘 되지 않음
◦ 종자에 감염된 병원균은 종자가 발아 시 균사를 신장시켜 자엽을 침해하고 이후 묘에 전신감염을 일으키며, 식물체의 다른 부위 감염에 주요 전염원이 됨
◦ 포자형성은 10~25℃에서 이루어지고 30℃ 이상, 10℃ 이하에서는 이루어지지 않으며, 포자형성 최적온도는 20~22℃
4. 방제방법
◦ 종자를 적용약제로 소독하여 파종하거나 등록된 약제는 없으나 땅콩의 갈색무늬병 약제를 이용하여 방제하면 효과적이나 잔류 및 약해 등에 유의함
◦ 저항성 품종을 선택하여 재배하며, 병든 식물체는 일찍 제거
◦ 밀식을 피하고 통풍이 잘 되도록 하고 수확 후 경운을 하여 표토를 땅속 깊이 갈아엎음
◦ 발생이 심한 곳은 화본과 작물이나 십자화과 채소류 등으로 돌려짓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