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종합병원

진단 및 처방

sicknsInfList

진단 및 처방

콩 탄저병
식량작물 > 퀴노아 > 병해

증상

도감정보

콩 탄저병

영문명 : Anthracnose

식물명 : 콩

1. 병원균 : Glomerella glycines (불완전세대 : Colletotrichum destructivum), G. cingulata (불완전세대 : C. gloeosporioides), C. truncatum

자낭균문에 속하며, 자낭각은 구형 내지 서양배 모양, 자낭은 곤봉형 내지 관상형, 2중막, 자낭포자는 약간 굽은 타원형 혹은 방추형임

분생포자는 C. truncatum이 낫모양이고 나머지 2종은 곧거나 혹은 약간 굽은 타원형 내지 원통형, 크기는 순서대로 10~22×4~6, 14~24 ×4~6, 16~24×3~4

 

2. 병징과 진단

잎에서는 처음에 갈색의 다각형 병반으로 나타나고 병이 진전되면 갈색 내지 암갈색의 부정형 병반으로 확대되며, 오래된 병반의 내부는 회색 내지 담황색으로 변하고 까만 점이 보이며, 잘 찢어짐

줄기에서는 갈색의 타원형 내지 부정형 병반이 형성되는데 후에 병반이 약간 움푹 들어가며, 균열이 생기고 오래된 병반에는 황색 내지 담홍색의 분생포자 덩어리가 형성되며, 심하게 병든 줄기는 검게 변색되고 말라죽음

꼬투리에서는 초기에 갈색 내지 암갈색의 원형 혹은 타원형 병반으로 나타나고 후에 겹무늬 병반으로 확대되면서 병반이 움푹 들어가기도 함

꼬투리 내의 종자에도 갈색 내지 흑색의 부정형 병반이 형성되고 후에 종자가 전체적으로 변색되어 썩음

 

3. 발생시기 및 발생조건

병원균은 균사의 형태로 종자 혹은 병든 부위에서 월동 후 분생포자를 형성하여 1차 전염원이 됨

종자에 감염되어 있는 병원균은 초기에 묘를 침해하여 잘록 증상을 일으키거나 병반 형성 없이 감염된 상태로 있다가 작물이 성숙할 때 2차 전염원이 됨

병원균의 감염은 온도 25~30, 상대습도 70% 이상에서 잘 이루어지며, 분생포자의 전반은 고온기에 관수 시의 물바울이나 빗방울 혹은 바람에 의해 이루어짐

여름에서 가을까지 온도가 높고 비가 많이 오면 심하게 발생함

 

4. 방제방법

무병지에서 채종한 종자를 사용하고 종자를 소독하여 파종

병든 식물체를 제거하고 발생이 심한 포장은 비기주 작물과 돌려짓기를 함

개화~종실 비대기에 많이 발생하므로 이 시기에 적용약제 살포

요방제 수준 : 1주에서 50개 꼬투리 중 4~5개 정도 발병되면 방제 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