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종합병원

진단 및 처방

sicknsInfList

진단 및 처방

아메리카잎굴파리
식량작물 > 퀴노아 > 충해

증상

도감정보

아메리카잎굴파리

영문명 : American serpentine leaf miner

식물명 : 콩

1. 학명 : Liriomyza trifolii

 

2. 피해와 진단

부화한 유충이 잎에 뱀처럼 구불구불한 갱도를 뚫고 다니면서 섭식하는데, 섭식한 자리는 갈색의 피해흔으로 나타나므로 쉽게 발견함

성충은 산란 이외에도 산란관으로 잎에 구멍을 뚫고 즙액을 흡즙하여 피해식물 잎 표면에 흰색의 작은 반점이 많이 남음

주로 다 자란 아래 잎에 산란하므로 피해는 하위엽에서 상위엽으로 진전되고 섭식할 때 질소 함유량이 많은 식물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

 

3. 형 태

성충은 2mm정도로 머리, 가슴 측판, 소순판 및 다리는 대부분 황색이고 그 외는 검정색으로 광택을 띠며, 특히 제5배마디 등판에 노란 삼각형 무늬가 있어 유사종과 구분할 수 있음

유충은 황색 또는 담황색의 구더기 모양이고 3령을 경과하여 3mm 정도의다 자란 유충이 됨

 

4. 생 태

암컷 성충 1마리가 약 300~400개의 알을 기주식물의 잎에 작은 구멍을 내고 산란하고 대부분 잎 앞면에 산란하지만 뒷면에 산란하는 경우도 있음

다 자란 유충은 구멍을 뚫고 나와 땅에 떨어져 번데기가 되나 많이 발생하면 잎에서 용화되는 경우도 있음

알에서 성충까지 발육기간은 15에서 47~58, 20에서 23~28, 25에서 14~15, 30에서 11~13일이며, 발육영점온도는 알 7, 유충 8, 번데기 약 10이고 발육상한온도는 약 35로 추정됨

국내에서 노지 월동여부는 불확실하나 시설 내에서는 휴면하지 않고 연중 15회 이상 발생함

 

5. 방제방법

약제저항성 발달이 빠른 해충으로 최근에는 기생봉(Dacnusa sibirica, Diglyphus isaea)과 곤충 기생선충을 이용한 생물적 방제법과 방사선을 이용한 불임충 방사 등 종합적인 대책 강구 필요함

등록된 약제는 없으나 토마토에 등록된 약제를 이용하여 5~7일 간격으로 3 정도 방제하며, 1회 방제 후 땅속의 번데기에서 우화는 성충이나 조직 속의 알에서 깨어나는 유충을 방제하여야 하되 잔류 및 약해 등에 유의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