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cknsInfList
1. 학명 : Heterodera glycines
2. 피해와 진단
◦ 감염 초기에 식물체의 지상부에는 아무런 증상이 나타나지 않으나 7월 하순 이후부터 갑자기 잎이 황색으로 변하고 잔뿌리의 발육이 불량해짐
◦ 선충이 뿌리에 기생하면 근류균에 의한 뿌리혹 형성을 억제하여 질소결핍 현상을 일으키므로 콩의 생육과 수량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함
◦ 포장밀도 조건에 따라 달라지지만 토양 1g당 1개의 씨스트가 있다면 수량이 68% 감소함
3. 형 태
◦ 암컷 성충은 직경 0.5~0.7mm 정도의 서양배 모양으로 머리와 꼬리부분이 약간 돌출되어 있으며, 수컷 성충은 실 모양으로 길이 1.0~1.2mm 정도임
4. 생 태
◦ 토양 속의 씨스트 내에서 알 또는 유충으로 월동한 선충은 콩이 발아하면서 뿌리에서 분비되는 부화자극 물질에 감응하여 씨스트에서 탈출함
◦ 부화한 2기 유충은 신선한 뿌리의 끝부분으로 침입하여 뿌리 속에서 3회 탈피한 후 성충이 됨
◦ 뿌리 조직 내에서 암컷 성충이 성장함에 따라 뿌리 표피층이 찢어지며 몸체가 밖으로 빠져 나오면서 두부만 식물체 속에 남은 상태로 양분을 섭취함
◦ 산란은 처음에는 극소수의 알을 체외의 알주머니 속에 낳게 되고 이 알은 바로 부화하여 다시 뿌리 속으로 들어가지만 씨스트 내의 알은 부화하지 않고 월동함
◦ 씨스트화된 선충은 불량환경에 대한 저항이 강하여 기주가 없는 포장에서도 5년 이상 생존이 가능함
5. 방제방법
◦ 콩과 작물에만 기생하므로 콩과 이외의 작물을 3~4년 윤작함
◦ 일반적으로 검정콩은 이 선충에 저항성인 품종으로 알려져 있음
◦ 등록된 약제는 없으나 발생이 심한 포장은 땅콩의 뿌리혹선충에 등록된 약제를 이용하여 파종 전 토양혼화 처리하여 방제하되 잔류 및 약해 등에 유의함
※ 선충의 알과 유충이 씨스트 속에 들어있으므로 훈증제 이외의 약제는 방제효과가 그다지 높지 않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