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종합병원

진단 및 처방

sicknsInfList

진단 및 처방

뿌리응애
채소 > 파(쪽파) > 충해

증상

해충

도감정보

뿌리응애

영문명 : Bulb mite

식물명 : 파(쪽파)

1. 학명 : Rhizoglyphus robini

 

2. 피해와 진단

뿌리와 비늘줄기를 가해하고 부패를 일으키며, 저장 중에도 계속 증식하면서 비늘줄기의 부패의 원인이 됨

뿌리응애 단독피해보다 병원균, 고자리파리 등 다른 병해충과 함께 복합 발생 될 때 피해가 커지며 각종 병원균을 옮기는 매개충 역할도 함

피해가 심한 경우 생육이 저조하고 지상부 잎 끝이 말라죽는 것을 볼 수 있으며, 특히 비늘줄기와 뿌리의 연결부위인 기저부에 밀도가 높아 뽑아보면 뿌리와 줄기가 쉽게 분리되어 뽑히는 경우가 많음

 

3. 형 태

응애는 좁쌀 모양 또는 서양배 모양으로 성충이 0.7mm 정도로 아주 작고 몸은 유백색이고 반투명하지만 다리와 턱은 암갈색을 띰

 

4. 생 태

구근 또는 땅속에서 각태로 겨울을 지냄

연 발생횟수는 지역에 따라 다르나 따뜻한 지역에서는 십 수 세대를 경과하고 고온다습 조건에서 번식이 왕성하며 1세대가 10~14일임

성충은 비늘줄기 껍질 부분에 낱알로 또는 몇 개씩 총 160개 정도 산란함

모래땅이나 화산회토, 산성토양, 유기질이 많은 밭에 발생 및 피해가 많음

 

5. 방제방법

상습 발생지는 파류의 연작을 피하고 건전한 묘를 정식해야 하며, 석회 시용으로 산도를 조정해 줌

매년 발생되었던 밭은 적용약제를 정식 전에 토양혼화처리하고 경운하며, 생육 중에 발생한 경우 비닐제거 후 적용약제를 2~3회 토양관주 처리함

등록된 약제가 없으므로 마늘에 등록된 약제를 준용하되 약해 등에 유의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