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cknsInfList
1. 피해증상
◦ 파는 저온성 식물로서 생육적온의 범위가 15~20℃이므로 봄철에서 여름철 고온으로 잎의 생장이 억제되고 잎 끝부분에 잎마름 증상이 발생하여 여름철 생산의 불안정한 요소로 작용함
◦ 파 고유의 생리적 특성으로 온도가 높은 시기에 발생이 많아지지만 한 겨울철 재배 중에도 발생함
2. 원 인
◦ 품종에 따라 발생 차가 크고 고온 다습한 조건에서 수분의 증산, 물의 이동, 무기양분의 이동, 뿌리의 상태 등과 관련이 있음
◦ 상습적으로 발생되는 토양을 보면 토양 속의 틈새가 많고 유효수분 함량이 낮고 이온친환용량이 낮으며 토양에 흡착된 염기의 포화도가 높은 포장에서 많이 발생함
◦ 부적절한 유기물의 대량 시용이 토양의 이화학적 성질을 나쁘게 하여 발생함
◦ 토양 중의 Ca함량이 적은 경우 많이 발생하며, Ca함량이 높더라도 pH가 낮으면 발생이 많이 됨
3. 대책 및 예방
◦ 고온과 생육 후기의 관수 제한에 의한 뿌리 생육의 억제가 잎마름증의 발생을 증가시키므로 적정량으로 자주 관수하나 다습조건은 파의 뿌리를 썩게 하므로 주의함
◦ 충분히 부숙시킨 퇴비를 시용하고 석회를 통한 Ca공급을 통해 잎마름증을 줄일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