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cknsInfList
1. 피해증상
◦ 가지 재배 중 가장 흔히 나타나는 생리장해로 아랫잎부터 잎맥의 엽록소가 줄어들어 누렇게 변하며, 하부에서 상부로 차츰 증상이 이동함
2. 원 인
◦ 8월에 아주심기를 한 모종은 다음해 3월 이후 초세가 떨어지고 뿌리의 능력이 저하되면 뿌리의 동화능력 부족으로 인한 흡수 능력이 저하되거나 토양 내 수분 과다로 양·수분의 흡수 능력이 저하할 경우 나타남
◦ 토양 속에 비료 성분 중 질소 비료에 비해 칼리 성분이 많을 경우와 다비, 토양 온도가 낮아 뿌리의 능력이 떨어질 때 마그네슙 흡수가 억제되어 나타나며, 인산의 흡수도 같이 억제되기도 함
◦ 대목 품종으로 톨범비가를 사용하였을 때 증상은 쉽게 나타나며, 생육 후기 뿌리 활력의 감소와 착과를 과도하게 시켰을 때에도 나타남
3. 대책 및 예방
◦ 과다 착과 시 흐린 날씨가 계속되면 뿌리의 동화양분 유입이 감소하여 뿌리의 발육이 저하하고 흡수 능력이 떨어지므로 착과수를 적절히 유지하고 잎면적을 확보하여 초세가 나빠지지 않도록 관리함
◦ 토양 온도는 18~20℃를 유지하도록 관리하고 칼리와 칼슘 비료를 지나치게 시용하지 않으며, 습해를 받지 않도록 유의함
◦ 밑거름으로 고토석회를 80~120kg/10a 시비하며, 응급대책으로 황산마그네슘 0.5~1%를 엽면시비함
◦ 토양전염성병 피해가 없을 경우 마그네슘의 결핍이 잘 나타나지 않는 대목 품종을 선택하여 재배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