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cknsInfList
1. 피해증상
◦ 과실의 표면이 햇빛에 의해 갈변 함몰하는데 심한 과실은 시간이 지나면 갈변 부위가 크게 발생함
◦ 처음에 八자형으로 과실의 표면이 함몰하여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갈변하며, 때로는 부정형으로 표면 전체에 발생하기도 함
2. 원 인
◦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일어나는데 기온이 상승하기 시작하는 이른 봄부터 하우스 내 온도 상승 속도에 비해 과실 표면 온도는 상대적으로 온도 상승 속도가 낮아 과실 표피에 결로현상이 일어나고 이때 강한 햇빛을 받으면 결로 부위의 과피가 급격한 온도 상승으로 덴 자국이 발생함
◦ 환기로 인한 하우스 내의 공중습도의 급격한 감소는 식물체 내의 증산량이 급증하는데 비해 작물 내의 수분이 부족할 경우 과실에서 발생하기도 함
◦ 다비에 의해 하우스 내 아질산 또는 암모니아 성분이 과실 표면 물방울에 용해되어 맺힌 후 하우스 내 온도가 높을 때 발생하고 약제를 살포할 경우 특히 수광량이 많은 고절 위에 착과된 과실에서 많이 발생함
◦ 3월 이후 흐리고 비 오는 날이 2일 이상 계속된 후 맑은 날에 발생이 많음
◦ 八자형의 피해는 과피가 부드러운 부분(꽃받침이 덮이지 않은 부분)에서 진액이 분출되어 이 액이 건조하여 과피가 함몰하는 경우로 보임
3. 대책 및 예방
◦ 과실 내 동화양분의 유입이 많아질 수 있도록 엽면적의 확보에 유의하고 토양 내 수분함량의 변화가 크지 않도록 관수관리를 철저히 하며, 시설 내 온도가 일시적으로 변화하는 일이 없도록 난방과 보온에 유의함
◦ 흐린 날 이후에 햇빛이 강해지고 급격히 온도가 상승하는 날에는 차광을 실시하고 상대습도가 급격히 낮아지는 시기에는 입자가 작은 살수기를 이용하여 순간순간 살포하여 과실의 표면의 증산량을 줄여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