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cknsInfList
1. 병원균 : Leveillula taurica
◦ 자낭균에 속하며, 순활물기생균으로 국내에서는 자낭세대가 발견되지 않았고 다른 흰가루병균과는 달리 내부기생성이며, 분생포자는 무색, 곤봉상, 단세포, 크기 51~85×13~25㎛임
2. 병징과 진단
◦ 주로 잎에 발생하며, 처음에는 잎 뒷면의 엽맥을 따라 얇은 서릿발 모양의 포자가 밀생하고 진전되면 그 부분의 표면에 담황색의 병무늬가 형성됨
◦ 심하게 발생하면 잎이 고사되어 떨어지고 끝부분의 새로 나온 잎만 남게 됨
3. 발생시기 및 발생조건
◦ 시설재배지와 가을 날씨가 건조할 때 심하게 발생함
◦ 분생포자는 공기전염 되고 건조한 조건하에서는 80일간 전염원 능력이 유지되며, 발병적온은 15~28℃임
4. 방제방법
◦ 병든 잎은 일찍 제거하여 초기 전염원을 없애고 질소의 과용을 피하여 과번무하지 않게 관리함
◦ 다소 건조하고 서늘한 조건에서 많이 발생하므로 다른 병의 발생을 조장하지 않는 한 온도와 습도를 높여줌
◦ 발병하기 전 예방적으로 약제를 살포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발병 초기 내부기생성 병원균이므로 침투이행성 약제를 10일 간격으로 2~3회 방제함
※ 요방제 수준 : 병반면적률 3.8~6.2% 이하일 때 방제 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