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종합병원

진단 및 처방

sicknsInfList

진단 및 처방

시들음병(위황병)

증상

병원균

도감정보

시들음병(위황병)

영문명 : Fusarium wilt

식물명 : 꽃양배추(브로콜리)

1. 병원균 : Fusarium oxysporum

불완전균에 속하며, 소형분생포자(단세포, 계란형 또는 콩팥모양, 크기 2.5~ 4×6~15)와 대형분생포자(초승달모양, 3~5세포, 크기 3.5~5.5×21~35) 형성, 후막포자는 구형, 오래된 균사에서 형성, 직경 7~11

 

2. 병징과 진단

감염된 그루의 아랫잎은 누렇게 변하고 생육이 불량해지며, 시듬

생육초기부터 후기까지 발생되는데, 포장에서는 정식 2~4주 후부터 발생됨

병이 진전되면 포기 전체가 심하게 황화되고 말라 죽음

환경조건에 따라 감염 후 몇 달 동안 식물체는 죽지 않고 매우 불량한 생육을 보일 때도 있음

뿌리를 잘라 보면 내부가 갈색으로 썩어 있고 건부증상을 나타냄

 

3. 발생시기 및 발생조건

병원균은 병든 식물체의 조직 속이나 토양에서 균사나 후막포자의 형태로 월동하며, 보통 토양 중에 널리 분포하고 물로 이동되는 거리는 매우 짧은데, 주로 흙입자에 묻혀 농기구나 사람 등을 통해 먼 거리로 이동됨

병원균은 식물체의 가는 뿌리나 상처를 통해 침입하며, 서늘한 지방에서는 병발생이 적고 감염되어도 병증상이 나타나지 않다가 수확기에 기온이 올라가면 증상이 나타나기도 함

병 발생에 적합한 온도는 24이상이며, 16이하나 33이상에서는 발병되지 않으며, 토양이 산성(pH 5~5.5)이고 배수가 양호한 사질양토에서 발생이 많은데, 월동체인 후막포자는 기주식물 없이도 토양 중에서 수년간 생존하기 때문에 방제가 매우 어려운 병해임

 

4. 방제방법

연작을 피하고 병 발생이 심한 토양은 5년 이상 돌려짓기를 함

석회 시용으로 토양산도를 높이고(pH 6.5~7.0) 수분 스트레스를 받기 쉬운 사질토양에서는 재배를 피함

토양선충이나 토양미소동물에 의해 뿌리가 상처가 나지 않도록 하며, 미숙퇴비 시용을 금하고 토양 내 염류 농도가 높지 않게 주의함

답전윤환이나 토양을 1개월 이상 담수하면 토양 중의 병원균 밀도를 낮추고 토양 환경을 다소 개선할 수 있음

등록된 약제는 없으나 정식 전 다조멧 입제(밧사미드 )를 사용하여 토양을 소독할 경우 경비와 노력이 많이 소요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