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종합병원

진단 및 처방

sicknsInfList

진단 및 처방

당근 꽃대발생(추대)
채소 > 당근 > 생리장해

증상

도감정보

당근 꽃대발생(추대)

영문명 : bolting

식물명 : 당근

1. 피해와 진단

저온에 의해 꽃눈이 분화되고 고온장일에 의해 추대가 촉진되는 점에서는 무나 배추와 같지만 일정한 크기 이상으로 발육한 후에 저온의 영향을 받는 녹체저온감응형 채소임

품종에 따라 다르지만 5~10일 때 꽃눈이 분화되고 고온과 장일 또는 강한 광선에 의하여 꽃대가 생장하고 개화함

고온에 의한 추대는 만추성 계통인 유럽계 품종이 둔하고 동양계 품종이 민감함

 

2. 원 인

조생종 또는 조추성 품종은 어릴 때부터 저온에 민감하지만 만추성 품종은 상당히 생장한 후가 아니면 저온에 감응하지 않음

일장은 저온에 비해 꽃눈 분화에 크게 영향을 주지 못하지만 저온에 처리된 당근은 일장 또는 강한 광선에서 꽃눈 분화가 촉진됨

예를 들면 홍심5촌 당근과 같은 비교적 일장 감응이 민감한 품종을 6~7월 상순에 파종하면 이른 추대가 일어남

 

3. 대책 및 예방

봄 파종 이른 재배 시 비닐하우스나 터널에서 재배하는 경우 저온에 꽃눈이 분화되고 고온기에 추대가 되므로 저온에 둔감한 품종을 선택하여 재배함

봄 파종 노지 재배의 경우 저온과 일장이 동시에 추대에 영향을 미치므로 저온과 장일에 둔한 품종을 선택해야 함

특히 저온의 경우 무, 배추와 달리 10내외에서도 크게 영향을 미치므로 저온기 보온에 다른 채소보다 더욱 절저히 해야 함

평지 여름재배 또는 고랭지 재배에서는 저온보다 장일이 추대에 영향을 미

꽃눈이 관찰되는 시기에(꽃눈이 분화된 후 추대 20일 전) MH-30 0.2~0.3%액을 7일 간격으로 2회 살포하면 추대를 늦출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