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cknsInfList
1. 학명 : Tetranychus urticae
2. 피해와 진단
◦ 잎 뒷면에서 세포 내용물을 빨아먹으므로 잎 표면에 작은 흰 반점이 무더기로 나타나고 심하면 잎이 말라 죽음
◦ 작은 반점은 초기에는 연녹색으로 변색되다가 점차 황색~갈색으로 변하고 심하면 낙엽이 짐
◦ 밀도가 높아지면 상부로 올라와 피해를 주며, 피해 부위에 거미줄을 침
3. 형 태
◦ 성충은 암컷 0.4mm, 수컷 0.3mm 내외로 여름형 암컷은 담황색 내지 황녹색으로 몸통의 좌우에 검은 무늬가 있는데 이것은 위 속에 있는 내용물에 의한 것으로 먹이에 따라 변화하고 휴면중인 암컷은 황적색으로 검은 무늬가 없으며, 다리는 거의 흰색에 가까움
◦ 점박이응애붙이와 차응애와 구별하기 어려운데, 점박이응애붙이는 어두운 황갈색으로 다리의 끝부분이 연한 황적색으로 보이고 차응애는 붉은 빛을 띤 초코렛색으로 앞다리의 선단부에 연한 황적색이 감돌며, 휴면암컷은 붉은색임
4. 생 태
◦ 온도가 높은 시설재배 작물에서 발생이 많고 추운 지방에서는 연 9회, 따뜻한 지방에서는 10~11회 발생하고 성충으로 월동하나 시설작물에서는 가온하고 야간 조명을 하면 휴면하지 않음
◦ 월동한 성충은 처음에는 잡초에서 번식하다가 작물이 생육함에 따라 작물로 이동하고 잎의 표면과 뒷면 모두 가해하나 주로 잎 뒷면에서 서식함
◦ 발육시작온도는 9℃ 전후이고 발육적온은 20~28℃, 최적습도는 50~80%, 25℃에서 알에서 성충까지 10일 소요되나 좋은 조건에서는 급속히 증가함
5. 방제방법
◦ 점박이응애 발생지점에 물을 뿌려주면 발생이 억제됨
◦ 잎당 2~3마리 발생 시 적용약제로 방제하되 약제저항성이 쉽게 발달하므로 계통이 다른 약제를 사용함(꿀벌에 안전)